초록 열기/닫기 버튼

첨단산업의 필수품인 희토류 원소는 현재와 미래의 산업에서 그 필요성이 더욱 증가하고 있다. 전기차의 보급과 정보통신 기술의 발전으로 네오디뮴, 란타늄 등의 희토류 자원의 가치가 폭증하고 있으며, 촉매공업의 발달로 인해 세륨 등의 사용이 증가하고 있다. 과거 선진 국가들 사이에서 희토류 자원 분쟁이 붉어지면서 희토류의 수출입과 재고 확보의 중요성이 강조되고 있다. 특히, 우리나라는 전자산업과 석유화학공업이 발달하여 희토류 원소의 수요가 많고 희토류 원소의 자원을 생산할 수 없어 대부분 수입하고 있어많은 관심을 가지고 있다. 이 논문은 희토류 원소 및 광물자원의 효율적인 관리를 위해 통계적 정보가 중요하다. 따라서 수출입 과정에서 HS code의 체계화를 통해 세분화되고 정확한 통계자료를 얻을 수 있다. 또한 국가 정책적으로 희토류 원소관련 산업의 원료 수급 및 재자원화 등의 지원이 필요하다.


Rare earth elements, which are necessities of high-tech industries, are increasingly needed in current and future industries. With the spread of electric vehicles, the development of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the value of rare earth resources such as neodymium and lanthanum is exploding, and the use of cerium is increasing due to the development of the catalyst industry. The importance of importing and exporting rare earths and securing inventories is being emphasized as disputes over rare earth resources have flared up among developed countries in the past. In particular, Korea has a lot of demand for rare earth elements due to the development of the electronics industry and petrochemical industry, and cannot produce resources of rare earth elements, so most of them are imported, so they have a lot of interest. Statistical information is important for efficient management of rare earth elements and mineral resources. Therefore, it is possible to obtain subdivided and accurate statistical data through the systematization of the HS code in the import and export process. Also, as a matter of national policy, it is necessary to support the supply and demand of raw materials and recycling of rare earth element-related industri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