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코로나19를 계기로 디지털 대전환을 맞이하며 전자상거래의 주요 주체로 기업뿐 아니라 개인 소비자의참여가 증가하고 있으나, 자가 소비용 물품의 경우 매우 저조한 FTA 활용 현황을 나타내고 있다. 따라서본 연구는 전자상거래 물품의 수입통관 유형별, 국가별, 품목별 교역 현황과 자가 소비용 물품의 수출입통관 규정을 검토하여, 원산지정보 확보가 어려운 개인 소비자를 위한 자가 소비용 물품의 FTA 협정관세적용 확대 방안을 제시하였다. 기존의 선행연구들은 주로 수출입 기업에 초점을 맞춘 FTA 활용 방안을다루었다면, 본 연구는 개인 소비자의 자가 소비용 수출⋅입 물품에 대한 FTA 활용 활성화 방안을 제시하였다는 점에 의의가 있다.


In the digital transformation brought about by COVID-19, not only companies but also individual consumers are increasingly participating in e-commerce, but their FTA utilization is very low in the case of goods for self-consumption. Therefore, this study suggests measures to expand the application of FTA tariffs on self-consumption goods for individual consumers who have difficulty obtaining origin information, after examining the trade status of e-commerce goods by import customs clearance type, country, and item, as well as the customs clearance regulations of goods for self-consumption. This study is significant in that it suggests measures to promote individual consumers’utilization of FTAs for self-consumption goods, unlike previous studies that mainly focus on promoting the utilization of FTAs for importing and exporting compani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