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본 연구는 선행연구 고찰을 토대로 성과주의 인사에서 활용되는 강제배분 상대평가를 실시 중인 국내기업 구성원을 대상으로 평가자의 공정한 평가를 위한 노력과 직무만족 간의 관계에서 분배적, 절차적 공정성 인식의 매개효과를 실증적으로 검증하고자 하였다. 강제배분 상대평가는 피평가자의 성과를 사전에 설정된 비율에 맞춰 평가등급을 부여하는 방식으로 절대평가와 달리 직원을 상위 20%, 중간 70%, 하위 10% 등으로 분류하는 성과평가분포를 활용하는 방식으로 도입 초기에는 구성원의 경쟁 촉발 및 성과 향상의 장점과 달리 중장기적으로는 역기능적 경쟁심화를 통한 생산성 하락 및 조직불신 등의 부정적 효과를 초래할 수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인사평가 관련 연구 중 상대평가 연구는 4%에 불구하다는 점에 착안하였고, 해당 제도를 운영하는 기업 구성원을 대상으로 한 연구를 통해 부정적 효과를 최소화하는 방안과 실무적 시사점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이러한 연구목적 달성을 위하여 강제배분 상대평가를 실시하고 있는 국내 5개 대기업 종사 구성원 187명을 대상으로 자료를 수집 및 분석하였고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평가자의 공정한 평가 노력은 구성원의 공정성 인식에 정(+)의 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구성원의 공정성 인식은 직무만족에 정(+)의 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구성원의 공정성 인식은 평가자의 공정한 평가 노력과 직무만족의 매개효과 분석은 분배공정성의 경우 부분매개효과를 가지며, 절차공정성은 매개효과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를 통해 상대평가제도 수립 시 절차성 확보와 평가와 보상의 연계 과정에서 성과별 보상제도 구축 및 운영의 필요성을 제시하였고, 그 외에 연구 결과에 대한 다양한 이론적, 실무적 시사점과 연구의 한계점 및 향후 연구를 위한 방향 등 제언을 논의하였다.


This paper examines the impact of fair rating behaviors of rater influences on job satisfaction with mediating effect of the justice perception under forced distribution rating system. Forced distribution rating system is a performance evaluation method that assigns rating scores to employees based on a predetermined distribution. Unlike absolute evaluation, this method uses a performance evaluation distribution that classifies employees into parts such as the top 20%, middle 70%, and bottom 10%, based on their performance. While initially introduced to trigger competition among team members and improve performance, it can be the counterproductive competition and negative effects in the long run, such as decreased productivity and organizational distrust. Therefore, this paper aimed to make the limited research on relative performance evaluation, which accounts for only 4% of research on employ evaluation. To minimize the negative effects of this system, the paper aimed to provide practical implications and recommendations by conducting research on employees of companies that operate this system. For an empirical this study, 187 survey data was collected and statistically analyzed from ratee in 5 major firms that conducted forced distribution rating system. The results showed as follows. First, the fair rating behaviors of rater was positively related to Justice perception. Second, the Justice perception was positively related to job satisfaction. Third, we confirmed that distributive justice perception had the mediation effect on the relationship between fair rating behaviors of rater and job satisfaction but procedural justice perception did not. We provided the suggestions as follows. We need to make compensation and procedural system to enhance justice perception under conducting forced distribution rating system. In addition, various theoretical and practical implications of the research results, limitations of the research and suggestions for future were discuss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