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이 글은 15세기 당시 비전형적 표기 양상의 사이시옷이 개재된 구성을 검토함으로써 사이시옷의 성격을 구명하였다. 사이시옷의 성격은 크게 세 가지로 나뉜다. ①부류는 당시 속격 ㅅ의 음가가 변화하여 이를 이표기로 표기하는 과정에서 시행착오가 있었던 것으로 추정되는 경우(속격 ㅅ이 공전 적용되는 이표기 구성)와 그 개재 배경을 포착할 수 없는 경우(ㅿ류)이다. ②부류는 속격 ㅅ의 음가가 ㆆ으로 변하면서 이것이 공전적용될 때에는 표기에서 배제되는 경우(‘西ㅅ녁’류, ‘X+이표기+字’ 구성 속 이표기)이다. 둘은 그 음가가 변하였음에도 여전히 표기로 ‘ㅅ’을 택하였는지 아니면 이표기를 택하였는지의 차이만 있다. ③부류는 당시 속격 ㅅ의 음가 변화에 더하여 속격 ㅅ의 문법적 지위가 불안정한 것이 겹쳐 재분석에 의해 사잇소리가 개재된 경우(후행요소 두음 병서 표기류, ‘X쏘리’류, ‘X+ㅈ+字’ 및 ‘Xᄍᆞ’ 구성 등)와 동일 어휘장 내에서 발생한 계열적 유추에 의해 사잇소리가 개재된 경우(‘엄쏘리’ 등)로 나뉜다. 사잇소리 개재 구성은 속격 ㅅ의 음가 변화와 불안정한 문법적 지위로 인해 그 내재적 문법이 약화된 언어사용자가 속격 구성을 재분석한 결과로 자연히 이 사잇소리는 속격 ㅅ과는 별개의 개념이다. 결국 이 시기 사이시옷은 속격 ㅅ 외에도 사잇소리 또한 의미하는 것으로 볼 수 있다.


The nature of Sai-Siot (ㅅ) was identified by examining the composition of its unusual spelling tendencies in the 15th century. The results showed that the nature of Sai-Siot can be divided into three major categories. First, the cases with spelling errors while using different letters to represent the genitive marker “ㅅ,” which changed its phonetic value, or cases where the background for Sai-siot’s adoption cannot be identified. Second, cases where the original sound of the genitive marker “ㅅ” changed to [ʔ] but was excluded from spelling when its changed sound could not be spoken. Third, cases where the instability of the grammatical position of the genitive marker “ㅅ” overlaps with the sound change of the “ㅅ,” so the Sait-Sori, a phonological concept, is inserted by reanalysis. It also includes cases where Sait-Sori is inserted by a paradigmatic analogy within the same lexical field. Therefore, the Sai-Siot was used for Sait-Sori and the genitive marker “ㅅ” during this perio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