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이 논문은 언어교육을 통한 민주시민 양성이라는 국어교육의 목표를 달성하기 위해 토론 교육의 올바른 방향을 탐구하고자 하였다. 이와 관련해 현재의 토론 교육이 나타내는 문제점을 보완하기 위해 근대계몽기에 협성회와 독립협회에 의해 수행되었던 토론회 양상을 분석하고 그 국어교육적 의의를 밝히고자 하였다. 근대계몽기 협성회와 독립협회에 의해 조직되었던 토론회는 봉건적인 소통 문화를 타파하고 근대적인 차원의 소통 문화를 확립하기 위한 교육적 기획의 성격을 지니고 있다. 이들의 노력에 의해 우리 사회에 근대적인 토론 문화가 정착되고 제도화 될 수 있었다. 이 과정에서 이들은 시의성 있는 논제를 발굴하고 청중 참여중심의 토론을 활성화함으로써 국민들의 참여를 이끌어내고 공론을 형성해 나갈 수 있었다. 현재의 토론 교육은 논증과 승패를 중요시하고 있으며 학생들은 토론의 의미를 개인적인 차원에서 파악하는 데 머물고 있다. 근대계몽기에 이루어졌던 토론은 참여와 소통을 위주로 한 토론 방식, 공론 형성과 토론의 사회적 역할에 대한 강한 인식을 드러내었다. 근대계몽기 토론회가 보여주었던 이러한 특성은 현재의 토론 문화를 비판적으로 성찰하고 토론 교육에 대한 인식 지평을 확장하는 데 기여할 수 있을 것이다.


In order to achieve the goal of Korean language education, which is to nurture democratic citizens through language education, this paper tried to explore the right direction of debate education. To supplement the problems of current debate education, this study analyzed the aspects of debate conducted by Hyeopseong-hoe and Independence Club during the modern enlightenment period. The debate of Hyeopseong-hoe and the Independence Club broke down the feudal communication culture and established a modern communication culture. In this process, they were able to form a public opinion to induce public participation and solve social problems by discovering timely topics and applying a participation-oriented debate model. Current debate education emphasizes argumentation and winning or losing, and students are confined to grasping the meaning of debate on an individual level. Debate conducted by Hyeopseong-hoe and Independence Club can contribute to critically reflecting on the current debate culture and expanding the horizon of perception on debate edu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