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이 논문의 목적은 한국사회의 지배의 기제를 문화적 주체화양식과 미학적 층위에서 묘사하는 것이다. 지배는 미적이고 도덕적인 것에서 생산ㆍ재생산된다. 예컨대 외모나 취향은 ‘능력’이 외화되는 중요한 영역이며, 즉물적으로 주체 및 주체 사이의 관계를 규정짓는다. 따라서 그것은 능력주의의 주요 영토가 된다. 이 글에서는 라이프스타일, 외모, 패션, 취향 등이 주체화양식에 관련되는 특징적인 단면을 다루었다. 이를 위해 부와 권력의 새로운 상호 작용 현상을 논하고 한류, 명품문화 등과 라이프스타일에 관련된 지배의 양상도 언급했다. 이 글의 또다른 목적은 이같은 지배의 주체적-미적-문화적 지배를 극복하기 위한 방법에 대해 논하는 것이다. 아래로부터의 저항이나 ‘예술적 자율성’의 모순적 작용에 주목하며, 중산층 이데올로기와 다른 ‘주체화’를 도모하는 수밖에 없다.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describe the mechanisms of domination of Korean society in terms of cultural subjectivization and aesthetics. Domination is produced and reproduced in the field of aesthetics and morality. For example, appearance and taste are important dimensions in which “merit” is externalized, and they immediately define the relationship between subjects and subjects. Therefore, they become the main territory of meritocracy. In this article, I discussed how lifestyle, appearance, fashion, and taste are characteristic aspects of subjectification. I have also argued the new interplay of wealth and power, and mentioned aspects of domination related to lifestyle, such as the Korean Wave and luxury culture. The another purpose of this article is to discuss ways to overcome this subjective, aesthetic, and cultural domination. I paid attention to the contradictory workings of resistance or ‘artistic autonomy’ from below, and argued that the only way to do so is to promote a ‘subjectivization’ different from middle-class ideolog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