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본고에서는 냉전과 분단의 시대에 전개된 재일조선인들의 ‘자유 세계’에서 ‘사회주의사회’로의 ‘동서’ 횡단 이동이었던 북한 귀국사업과 그 반동으로 모색된 역방향의 횡단 이동인 한국의 조총련 모국 방문 사업과 일본 사회의 북한 일본인 아내 자유 왕래 실현 운동을, 디아스포라의 귀환권이라는 인권 담론이 관련국들 사이에 착종하며 전개된 양상에 주목하여 살펴보았다. 귀환권을 포함한 이동권을 인간의 기본적 권리로 규정하는 세계인권선언은 사회구성원의 이동을 철저하게 통제하는 공산권 국가들 사이에서는 수용되기 어려운 인권관이었고, 이동권 제한은 공산권의 인권침해의 대표적인 사례로 지속적으로 비판을 받아왔다.그런 의미에서 1959년에 개시되었던 재일조선인의 북한으로의 귀국 행렬은 ‘사회주의 나라들의 승리’로 선전되기에 충분했다. 하지만 이 사업은 이후 급격히 쇠퇴하였고, 반대로 남한에서는 1975년부터 총련계 재일조선인들의 모국 방문 사업이 전개되어 ‘인도주의의 승리’로 선전되었다. 그러나, 총련계 재일조선인의 분단된 고국의 남북으로 향하는 두 개의 흐름은 귀환권이나 이동권이라는 인권에 기초했다기보다 남북한 사이의 체제 경쟁이라는 정치 문제에 기인한 것이었다. 인권 담론이 지극히 정치적으로 행사된 것은, 재일조선인에 대한 식민지 지배 책임과 의무를 사장시킨 채 그들의 재입국 없는 북한 귀국을 정당한 인권 행사로 옹호한 일본이, 북한 거주 일본인 아내의 이동권 향유에 소극적으로 임한 것을 통해서도 알 수 있다.


This paper deals with the discourses deployed by South and North Korea, as well as the Japanese authorities, around the mass repatriation of Zainichi Koreans from Japan to North Korea in 1959~1984, which resulted in 93,339 Zainichi Koreans (and their spouses, 1,871 of whom were ethnic Japanese women) going to North Korea for permanent settlement. Such a mass movement from an advanced capitalist country to a society of socialist orientation was exceptional in Cold War context, when most mass migrations tended to take place in the opposite direction (the Armenian repatriation to Soviet Armenia in 1945~49 was one plausible precedent, but the numbers of French or American Armenians who ended up in Soviet Armenia were significantly lower compared to the Zainichi repatriates to North Korea). As this paper argues, this mass migration ― which was to alleviate workforce shortages in the North and bind Zainichi society closer to North Korea ― was discursively legitimized in nationalist terms by North Korean leadership, as a national (rather than individual) right. Japanese authorities justified their collaboration with North Koreans in the process of organizing this migration in terms of international humanitarian law, while South Koreans criticized their actions as de facto mass expulsion of discriminated Zainichi Koreans, focusing on the clause making return to Japan impossible for repatriates (and thus denying Zainichi repatriates the freedom of movement, exposing the emptiness of the “humanitarian” rhetoric on the Japanese side). All sides, in the end, were deploying human or national rights rhetoric to justify their self-interested behaviou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