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연구목적: 본 연구의 목적은 요양병원 종사자의 직무불안정성, 직무스트레스, 이직의도 간의 영향관계를 파악함으로써 요양병원 종사들의 직무환경 개선을 위한 방안을 도출하는 데 있다. 연구방법: 분석자료는 서울특별시와 경기도에 소재한 요양병원 종사자들을 대상으로 온라인 설문조사를 통해 수집하였다. 표본집단의 일반적 특성을 파악하기 위해 빈도분석을 실시하였으며, 측정변수의 정화를 위해 탐색적 요인분석을 실시하였고, 연구모형의 신뢰성과 타당성을 파악하기 위해 확인적 요인분석을 실시하였다. 또한, 연구변수들 간의 영향관계를 파악하기 위해 구조모형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구조모형분석 결과, 직무불안정성은 직무스트레스(β=0.716, p<0.001)와 이직의도(β=0.432, p<0.001)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직무스트레스는 이직의도(β=0.471, p<0.001)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 요양병원 종사자들의 이직의도를 낮추기 위해서는 안정적인 고용을 보장하고 직무스트레스를 최소화할 수 있는 근무환경 조성이 필요하며, 또한 직무스트레스를 해소할 수 있는 프로그램 개발이 필요하다.


Objective : The purpose of the study is to identify the relationship among job insecurity, job stress, and turnover intention of long-term care hospital employees in order to improve their work environment. Methods : The data were collected through an online survey of employees of long-term care hospitals in Seoul Metropolitan City and Gyeonggi Province. The study conducted frequency analyses to identify the 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sample group; additionally, the research conducted exploratory factor analysis to purify the measurement variables, and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was conducted to confirm the reliability and validity of the research model. Moreover, the study conducted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to examine the relationship among the study variables. Results : The results of the structural modeling showed job insecurity had a statistically positive influence on both job stress(β=0.716, p<0.001) and turnover intention(β=0.432, p<0.001). In addition, job stress had a statistically positive influence on turnover intention(β=0.471, p<0.001). Conclusion : It is necessary to develop a working environment that can guarantee stable employment and minimize job stress; it is also necessary to implement a program that relieve job stress in order to lower the turnover intention of long-term care hospital employe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