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본 논문은 복음주의 내 설교의 해석적 지평을 넓히는 차원에서 생태 신학과 실천신학의 접목을 통해 생태적 설교의 필요성과 실천신학적 과제를 모색해보려는 연구이다. 이글은 코로나19 이후 기후 위기의 문제가 인간성의 위기요 사회적 불평등과 생태 부정의문제로 인식되고 있음에도, 복음주의 내 설교의 전반적인 경향은 ‘성(聖)과 속(俗)’의 이분법적 세계관과 가부장적 신정론 교리에 머물고 있다는 문제의식에서 출발하였다. 연구자는 실천신학을 전공한 여성 신학자로서 실천신학과 생태 신학의 접목을 통하여 ‘인간주체의 경험’과 ‘유기적 돌봄 실천’이라는 학문적 공유 가치를 발견하게 되었고, 이를 생태적 설교이론의 토대로 삼았다. 또한 생태적 설교의 필요성은 ‘하나님으로 인해 치유된인간성’과 사회정의와 생태 정의에 민감한 유기적 돌봄에 두었다. 생태적 설교를 위한 방향성으로는 ‘옆으로 보는 관점’, 경험 주체의 신학, ‘유기적 돌봄 실천’이라는 세 가지 관점을 제시하였고, 생태적 설교의 내용으로는 여성 친화적 설교, 친환경 크리스천 생활 설교(에너지 절약, 채식 위주의 식단, 쓰레기 줄이기, 검소한 생활), 반려동물을 위한 설교(동물권 보호와 돌봄, 장례)를 다루었다. 결론으로 생태적 설교를 위한 실천신학적 과제를 다음과 같이 제안하였다. 첫째, 여성의생태 비평적 성서해석이 이루어져 생태적 인간관과 여성관을 제시해줄 수 있어야 하며, 노동과 경제, 정치와 일상적 돌봄 실천이 젠더 정의와 연관될 수 있도록 교회 직제와 정치, 교회법과 설교영역에서 생태적 여성 실천신학의 학문적 지평이 넓어져야 할 것이다. 둘째, 하나님 창조 세계에 대한 교회의 예언자적 참여와 타인과 함께 하는 모범적 삶의프락시스를 학문적 대상으로 삼는 설교가 되기 위해서는 사회과학 이론과 인간론, 소통이론과 문화이론 등과 같은 인문 교양 차원의 학문이론들이 실천신학과 통합할 수 있어야한다. 셋째, 생태 신학과 생태 여성 신학과의 학문적 교류를 비롯하여 신학적 동물학과동물 돌봄에 관한 지식과 담론이 풍성해져야 한다. 넷째, 가난과 부, 환경과 사회적 책임, 생태 정의와 사회적 돌봄에 관한 생태 실천신학적 연구와 함께, 생태 경제이론, 생태사회윤리, 기후 정의와 미래세대 등과 같은 생태 사회학적 연구도 활발해져야 할 것이다.


This essay is a study to explore the necessity of ecological preaching and practical theological tasks through the grafting of ecological theology and practical theology in order to broaden the interpretive horizon of preaching within evangelicalism. This study started with a critical awareness that even though after COVID-19 the climate crisis is recognized as the crisis of humanity and problems of social inequality and denial of ecology, the overall tendency of evangelical sermons remains in the doctrines of a dualistic world view of the sacred and the secular and a patriarchal theodicy. As a woman theologian in practical theology, the researcher discovered the shared academic values of ‘experiences of human subjects’ and ‘practice of organic caring’ through the grafting of practical theology and ecological theology and made this the basis of ecological preaching theory. In addition, the need for ecological preaching was placed on ‘humanity healed by God’ and practice of organic caring sensitive to social justice and ecological justice. As for the direction for ecological preaching, three perspectives were suggested: “A horizontal perspective,” “theology of subjects with experiences,” and “practice of organic caring.” The contents of ecological sermons included women-friendly sermons, eco-friendly Christian life sermons (energy saving, vegetable-based diet, waste reduction, frugal life), and sermons for companion animals (animal rights, protection, care, and funerals). In conclusion, the following practical theological tasks for ecological preaching were suggested. First, we need to develop women's ecological critical interpretation of the Bible and suggest views on ecological women and humanity. The academic horizon of ecological women's practice theology should be expanded in the areas of the church office system, politics, the church law, and preaching so that labor, economy, politics, and daily care practice can be related to gender justice. Second, in order to develop a sermon that deals academically with the prophetic participation of the church in God's created world and the exemplary praxis of living with others, we need to integrate practical theology with academic theories of the liberal arts such as social science theory and theory of human nature, communication, and cultural theory. Third, the knowledge and discourse on theological zoology and animal care should increase, including academic exchanges between ecological theology and ecological feminist theology. Fourth, ecological and sociological studies such as ecological economic theory, ecological social ethics, and climate justice and future generations should also become active, along with ecological and practical theological research on poverty and wealth, environmental and social responsibilities, ecological justice and social ca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