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본 연구는 어머니-영아의 기질적 조화적합성 수준에 따른 집단 간 어머니-영아 상호작용, 어머 니 양육지식, 영아 발달 및 COVID-19 시기 가정양육환경의 차이와 어머니-영아 조화적합성 예측 요인을 규명하고, 어머니-영아 간의 상호작용 관련 질적 특성을 심층적으로 살펴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서울·경기 어린이집에 재원하는 영아와 어머니 50쌍을 대상으로 설문조사 및 현장관찰 을 통해 양적·질적 자료를 수집하였다. 수집된 자료를 통해 어머니-영아의 기질적 조화적합성 수 준에 따른 세 집단별(상, 중, 하) 주요 연구변인의 차이 및 집단분류 예측요인을 살펴보고 각 집단 을 대표하는 9쌍을 대상으로 어머니-영아 상호작용의 특성을 심층적으로 분석하였다. 그 결과, 어 머니-영아의 기질적 조화적합성은 연구대상의 인구사회학적 배경 및 주요 연구변인에 유의한 차 이를 보였으며, 이를 예측하는 변인은 어머니 상호작용 및 영아 발달로 나타났다. 또한 각 집단의 어머니-영아 상호작용 질적 특성에 있어 유사성 및 차이점이 나타나, 양적 결과를 어느 정도 지지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어머니-영아의 기질적 조화적합성 관련 연구 및 자녀 양육 실제 에 유용한 기초자료를 제공한 점에서 의의가 있다.


The main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ifferences in mother-infant temperamental goodness of fit as related to mother-infant interaction, mother’s parenting knowledge, infant development, and infant-rearing home environment during the COVID-19 period and examined in-depth the qualitative characteristics of mother-infant interaction. To this end, quantitative and qualitative data were collected through surveys and on-site observations of 50 mother-infant dyad who attended subsidized child care facilities, located in Seoul and Gyeonggi areas. From the collected data, we examined the differences between the three main study variables and group classification predictors according to the mother-infant temperamental goodness of fit and analyzed the characteristics of nine pairs of mother-infant interaction representing each group. The results of the mother-infant temperamental goodness of fit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demographic background and major research variables of the study, and the variables predicting this were mother interaction and infant development. Also, results from the statistical findings to show that there were both common and group-specific patterns in associations with mother-infant interaction. Along with the main results of this study, implications for research and practice were discuss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