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본 연구는 디지털 대전환 시대 새로운 교육분야인 코딩교육을 중심으로 국내에서 실행된 코딩교육 프로그램 연구들을 종합하여 유아 및 초등학생의 코딩교육 프로그램 효과성에 대한 메타분석을 실시하였다. 이를 위해 PICOS 기준에 따라 국내에서 출간된 학위논문 및 학술지를 수집하여 최종적으로 선정된 총 14편의 분석대상 연구물로부터 17개의 효과크기 산출하였다. 선정된 연구는 R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첫째, 전체 효과크기는 1.33으로 큰 효과크기를 나타내었다. 둘째, 종속변인별 효과크기는 인지적 변인 1.48, 정의적 변인 1.04로 큰 효과크기를 나타내었다. 셋째, 효과크기에 영향을 미치는 조절변수로는 학습대상에 따른 효과크기 차이가 유의미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유아, 초등 순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 결과를 통해 유아 및 초등학생을 대상으로하는 코딩교육은 대상의 관심과 흥미, 발달 수준을 반영한 디지털 기반 놀이 환경의 중요성을 확인하였다. 동시에 현장 교사 교육을 강화하여 정규 교과 안에서도 다양한 주제와 접목시켜 활용할 수 있는 교육과정이 필요함을 시사한다. 또한 초등학교에서는 저학년, 고학년 맞춤 놀이 중심 코딩교육과 블록기반 컴퓨터 언어 경험이 더욱 구체화 될 수 있는 프로그램의 개발이 요구된다. 본 연구는 유아 및 아동의 코딩교육 프로그램에 대한 효과성을 밝힌 것으로 앞으로 개발할 코딩교육 프로그램의 구안 및 운영에 시사점을 제공한 것이다.


This study analyzed the effects of coding education programs for preschool and elementary school children by synthesizing research on coding education programs conducted in Korea, focusing on coding education, a new field of education in the digital transition period. To this end, papers and academic journals published in Korea according to PICOS standards were collected and 17 effect sizes were calculated from a total of 14 finally selected research results. The selected studies were analyzed using the R program. As a result of the analysis, first, the overall effect size was 1.33, showing a large effect size. Second, the effect size for each dependent variable was 1.48 cognitive variables and 1.04 emotional variables, showing a large effect size. Third, as a control variable affecting the effect size, the difference in effect size according to the learning object was found to be significant, followed by ireschool and elementary school children. Through the results of this study, coding education for reschool and elementary school children confirmed the importance of a digital-based play environment that reflects the interest, interest, and development level of the subjects. At the same time, it suggests that there is a need for a curriculum that can be used in connection with various topics even within the regular curriculum by strengthening field teacher education. In addition, elementary schools are required to develop customized play-oriented coding education for the lower and upper grades and programs that can further embody block-based computer language experiences. This study revealed the effects of coding education programs for reschool and elementary school children and provided implications for the design and operation of coding education programs to be developed in the futu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