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불교심리치료는 불교심리학에 기반하고, 불교심리학의 주제가 되는 마음은 존재론, 인식론, 진리론이라는 불교철학의 영역에 의해서 영향을 받는다. 서양철학의 전통적인 존재론이 실체론적 존재론이라면, 불교철학의 존재론은 생멸론적 법론이라고 할 수 있다. 이러한 법론(法論) 또는 담마로지(dha mmalogy)는 비실체성을 특징으로 하며 치유의 가능성, 치유의 가능근거, 치유의 지향점을 제시하고 있다. 인식론은 감각기능과 감각대상인 십이처를토대로 인식주체의 보편적이고 고유한 인식론으로 성립하게 된다. 매순간감각이라는 인식을 통해서 새로운 세계가 생멸적으로 열리게 되고, 어떤 세계를 개현할지는 인식주체의 선택에 놓이게 된다. 인식주체가 인간으로 확정되면 사성제가 진리론으로 등장한다. 고성제의유위법과 멸성제의 무위법은 대응적 진리의 특징을 가지고, 집성제와 도성제는 원인론과 방법론으로 정합적 진리의 특징을 가지고, 사성제 전체는 멸성제의 실현이라는 실현적 진리의 특징을 가진다. 그리고 사성제 각각은 현상론, 원인론, 목적론, 방법론으로 볼 수 있고, 이는 포괄적 진리의 특징을가진다고 할 수 있다. 사성제는 대응적 진리, 정합적 진리, 실현적 진리, 포괄적 진리의 특징을 가진다. 사성제에서 ‘성’은 ‘고귀한’, ‘성자의’라는 의미와 함께 ‘고귀함으로’, ‘성자로’로 해석할 수 있다. 전자의 두 해석은 전통적해석인 반면, 세 번째 해석은 고를 고귀함으로 또는 성자로 나아가는 촉발자의 역할로 해석하는 지향적 해석이다.


Buddhist psychotherapy is based on Buddhist psychology, and the mind, which is the subject of Buddhist psychology, is influenced by the areas of Buddhist philosophy: ontology, epistemology, and theory of truth. While the traditional ontology of Western philosophy is a substantial ontology, the ontology of Buddhist philosophy is dhammalogy. The biggest feature of dhammalogy can be said to be no-self, that is, non-substance. In the dhammalogy, the possibility of therapy, the basis for the possibility of therapy, and the direction of therapy are presented. Dhammalogy is equal in extension to theory of dependent origination. Epistemology is established as a universal and unique epistemology of the subject of cognition. Every moment, through the perception of the senses, a new world is born and destroyed. It is the responsibility of the perceiving subject to decide which world to open. The Four Noble Truths represent the theory of truth. The Noble Truth of Suffering and the Noble Truth of the Cessation of Suffering have the characteristics of corresponding Truth, the Noble Truth of the Cause of Suffering and the Noble Truth of the Path have the characteristics of the coherent Truth, and the entire Four Noble Truth has the characteristic of the realization of the Noble Truth of the Cessation of Suffering. And each of the Four Noble Truths can be seen as phenomenology, aitiology, teleology and methodology. The Four Noble Truths can be viewed in terms of correspondence theory of truth, coherence theory of truth, realization theory of truth, and inclusiveness theory of truth. In the Four Noble Truths, 'ariya' can be interpreted as 'to nobility' and 'to the saint' along with the meanings of 'noble' and 'saint'. The last two interpretations are traditional interpretations, while the first interpretation interprets suffering as acting as a trigger to nobleness or sainthoo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