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1929년 원산총파업에 관한 지원 운동은 크게 파업 지지 격문・전보 발송과 파업 지원금품 발송으로 나타났다. 먼저 파업 지지 격문・전보 발송양상을 살펴보면 국내의 경우 지역별로 보면 충청북도를 제외한 전국 모든 지방에서 나타났으며, 서울을 포함한 경기도와 함경남도, 경상남도 지방에서 가장 고조됐다. 시기로 보면 대체로 1월 하순부터 2월 초순에 집중됐고, 각 지역의 노동단체와 청년단체에서 주도했다. 국외의 파업 지지 전보・격문 발송은 주로 일본에서 이뤄졌고, 시기별로 보면 1월 말부터 3월까지 이어졌다. 발송자로 보면 국내와 마찬가지로 노동단체, 청년단체가 지원 발송을 주도했다. 파업 지원금품 발송의 경우 1월 하순에서 2월 초순까지 시기에 두드러지게 나타났다. 지역별로 보면 전국 대부분의 지방에서 지원 운동이 나타났으며 함경남북도, 그리고 서울을 포함한 경기도, 그리고 전라북도와 경상남도에서 활발하게 전개됐다. 파업 지원금품 발송 역시 파업 지지 전보・격문 발송과 마찬가지로 노동단체와 청년단체에서 주도했다. 다만 격문의 경우 대부분 사회단체에서 발송했던 것에 비해 지원금품의 경우 개인 발송이 적지 않게 있었다. 한편 1929년 원산총파업에 관한 언론의 보도 경향을 살펴보면 『동아일보』, 『조선일보』, 『중외일보』와 같은 조선어 민간신문들의 경우 파업 연대 활동과 일제 관헌의 파업 관련 탄압에 관한 보도가 주를 이뤘으며. 원산노동연합회와 파업노동자의 입장을 옹호하고 원산상의를 비롯한 고용주들을 비판했다. 반면 『매일신보』의 경우 대체로 파업 관련자 탄압과 파업의 영향에 관한 보도를 통해 파업의 부정적인 측면을 강조하며, 식민권력의 책임을 지우고자 했다.


Support activities for the 1929 Wonsan General Strike were primarily manifested through the distribution of strike support manifestos and telegrams, as well as the provision of strike support funds. First, looking at the patterns of strike support manifestos and telegram distribution, it was observed nationwide in all regions except for Chungcheongbuk-do. The regions with the highest intensity were Gyeonggi-do, including Seoul, Hamgyeongnam-do, and Gyeongsangnam-do. In terms of timing, it generally concentrated from late January to early February, led by local labor and youth organizations. As for the overseas distribution of strike support telegrams and manifestos, it mainly took place in Japan, and it extended from late January to March. Similar to domestic efforts, labor and youth organizations played a leading role in sending support funds. The distribution of strike support funds was prominently observed from late January to early February. In terms of regions, the support movement appeared in most provinces nationwide, with active participation in Hamgyeongnam-do and Hamgyeongbuk-do, as well as Gyeonggi-do including Seoul, Jeollabuk-do, and Gyeongsangnam-do. Similar to the distribution of strike support telegrams and manifestos, labor and youth organizations took the lead in providing strike support funds. However, unlike manifestos, which were mostly sent by social organizations, there were also not a few instances of individual distribution of support funds. Wonsan General Strike, Chosun Ilbo, Dong-A Ilbo, and The Choongoi-ilbo, which were Korean-language private newspapers, predominantly focused on reporting solidarity activities related to the strike and the suppression of the strike by the Japanese authorities. They advocated for the position of the Wonsan Labor Federation and the striking workers while criticizing employers, including the Wonsan Chamber of Commerce. On the other hand, Maeil-shinbo generally emphasized the negative aspects of the strike through reporting on the repression of those involved in the strike and its impact, aiming to shift responsibility onto colonial authoriti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