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이 연구는 2015 개정 통합교과서에 관한 연구 동향을 분석하여, 차기 통합교과서 개발을 위한 시사점을 제안하는 것이 목적이다. 이를 위해 2015 개정 통합교과서 45편의 문헌을 대상으로 연구 시기 및 내용, 연구 대상, 그리고 제언 측면에서 연구 동향을 살펴보았다. 연구결과, 2015 개정 통합교과서 연구 동향을 크게 네 가지로 종합하였다. 첫째, 2015 개정 통합교과서 연구에는 '개발 → 분석 및 활용 → 개발'의 연구 흐름이 있었다. 둘째, 연구내용은 교과서 분석(약 44.4%)이 가장 많았고, 이어서 교과서 개발(약 33.3%)과 교과서 활용(약 22.2%) 순이었다. 셋째, 연구 대상은 교과서(약 82.2%), 사용자(약 13.3%), 개발자(약 4.4%) 순으로 연구가 이뤄졌고, 학생을 대상으로 한 연구는 없었다. 넷째, 제언으로는 교과서 개선(약 82.2%)이 가장 큰 비중을 차지했으며, 교과서 개발 절차 개선, 여건 조성, 인식 개선, 후속 연구 요청이 각각 같은 비중(약 4.4%)을 가졌다. 이를 통해 차기 통합교과서 개발에 관한 시사점으로 첫째, 수정·보완 연구가 필요하다는 점 둘째, 교사교육 기능을 고려해야 한다는 점, 셋째, 주제 개발을 돕는 교과서 구조를 마련할 필요가 있다는 점, 넷째, 플랫폼으로서 교과서를 구현할 필요가 있다는 점, 다섯째, 기술 공학을 활용할 필요가 있다는 점, 여섯째, 통합교과서를 사용한 학생에 관한 연구가 필요하다는 점을 제안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research trends of the 2015 revised integrated textbook and propose implications for the development of the next integrated textbook. To achieve this, the study examined the research trends in the aspects of research period and content, research subjects, and suggestions using 45 pieces of literature of the 2015 revised integrated textbook. The research results revealed four main trends in the 2015 revised integrated textbook research. First, the research flow of 'development → analysis and using → development' existed in the 2015 revised integrated textbook research. Second, the research content was mostly focused on textbook analysis, followed by textbook development and textbook utilization. Third, research subjects were mainly textbooks, users and developers, with no studies targeting students. Fourth, in terms of suggestions, textbook improvement held the largest proportion, while textbook development process improvement, environment creation, perception improvement, and follow-up research requests each had an equal proportion. Based on these findings, the implications for the development of the next integrated textbook were suggested as follows. First, a revision and supplementary of research should be established. Second, teacher education functions should be considered. Third, a textbook structure that supports teachers and students in co-developing topics should be develop. Fourth, textbooks as a platform should be implemented. Fifth, technology engineering should be utilized. Lastly, the need for research on students using integrated textbooks is sugges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