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본 연구는 COVID-19 팬데믹 시기의 청소년의 부모와의 의사소통을 유형화하고, 유형 간 SNS 중독의 차이를 살펴보았다. 이를 위해, 서강대학교 생명문화연구소에서 진행한 ‘2022년 지역사회 청소년 의견조사’에 응답한 청소년 총 646명의 자료를 활용하여 잠재 프로파일 분석을 하였고 이를 통해 나눠진 유형 간 차이를 검증하기 위해 One-way ANOVA를 실시하였다. 주요결과는 첫째, 청소년을 대상으로 한 부모와의 의사소통 유형은 4개의 하위집단으로 유형화되었으며 각 프로파일의 특성을 고려하여 ‘소통취약형(9.4%)’, ‘소통 중간형(70.1%)’, ‘소통원활형(15.5%)’, ‘모편향소통형(4.3%)’으로 명명하였다. 둘째, 전체 연구 대상의 약 80%가 부모와의 의사소통에서 중간 이하의 집단에 속했으며, 유형화를 통해 도출된 네 집단에서 공통적으로 어머니와의 의사소통 수준이 높게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청소년기 부모-자녀 의사소통 유형 중 ‘소통취약형’이 ‘소통원활형’보다 청소년 자녀들의 SNS 중독 수준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이는 ‘모편향소통형’과 ‘소통중간형’과의 비교에서도 같은 결과를 도출하였다. 이와 같은 결과를 토대로 청소년기 자녀의 부모-자녀간 의사소통의 중요성을 확인하였으며 개입의 방향을 제안하였다.


This study was conducted to categorize adolescents' communication with their parents during the COVID-19 pandemic and to find out whether typification affects SNS addiction. To this end, Latent Classes Analysis was conducted using data from a total of 646 teenagers who responded to the 2022 Community Youth Opinion Survey conducted by Sogang University's Life Culture Research Institute, and one-way ANOVA was conducted to verify the difference between types. As a result, first, during the COVID-19 pandemic, adolescents' communication with their parents was classified into four groups, and they were named 'communication facilitation', ‘communication deficits’, 'communication intermediate', and 'momentive communication'.Second, about 80% of the total study subjects belonged to the lower-middle group in communication with parents, and communication with mothers was found to be high in all groups. Third, Among the types of adolescents' communication with their parents during the COVID-19, ‘communication deficits' showed higher levels of SNS addiction than the 'communication facilitation'', which resulted in the same results compared to the 'communication intermediate', and 'momentive communication'. Based on these research results, the importance of communication with adolescent parents was confirmed, and the direction of intervention was suggested in relation to i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