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이 글은 한국 사회가 전통적인 집단주의에서 개인주의로 변화해가는 과정에 대해 분석하려고 한다. 이를 위해 우선 개인주의, 집단주의, 자유주의, 그리고 공동체주의에 관한 이론적 검토를 통해 각 개념의 의미와 철학적 기반을 밝힌다. 서구에서는 개인주의와 자유주의가 동의어로 그리고 집단주의와 공동체주의가 동의어로 사용되고 있지만, 한국 사회에서는 개인주의가 자유주의와 결합되지 못하고, 집단주의는 공동체주의의 특성을 결여하고 있다. 그로 인해 개인의 자유, 자율성, 권리를 존중하는 개인주의는 억압되고 이기주의와 동일시되는 왜곡이 일어났다. 동시에 집단을 우선시하는 집단주의 경향이 강하면서도 공동체주의가 주장하는 공동체의 도덕성에 기반한 개인의 통합과 개인의 보호는 이루어지지 않고 있다. 이러한 상황에서 1990년대 후반 경제위기 이후 신자유주의가 도입되면서 한국 사회는 근본적으로 변화하기 시작했다. 개인들의 삶의 조건이 악화되면서 개인이 공동체로부터 분리되는 개인화의 모습이 나타났다. 동시에 한국 사회에서 자유주의의 원리인 공정성과 기회균등의 중요성이 커지고 있다. 이는 사회적 조건의 변화에 따른 개인의 새로운 생존 전략이기도 하지만 다른 한편으로 자유주의적 개인주의의 형성을 위한 기반이 마련된 것으로 이해된다. 그러나 신자유주의 시대의 원자화된 개인의 위기를 극복하기 위해서는 자유주의와 공동체주의의 장점이 결합될 필요가 있다. 개인이 자유와 자율에 기반한 권리를 누림과 동시에 공동체에 대한 책임과 도덕성을 지킴으로써 개인과 사회를 모두 보호할 수 있을 것이다.


This paper intends to analyze the transformation of Korean society from collectivism to individualism. First, I review the theoretical concepts and philosophical foundations of individualism, collectivism, liberalism, and communitarianism. Unlike Western societies, Korea demonstrated divergence between individualism and liberalism, and between collectivism and communitarianism. As a separate concept from liberalism, individualism in Korea did not entail an emphasis on liberty, autonomy, and the rights of individuals, but was rather strongly suppressed and frequently misunderstood as a synonym for egoism. Likewise, the strong tendency towards collectivism did not accompany the shared virtues of community and the tight integration of individuals into the community on the basis of those values, as was the case in Western communitarianism. The economic crisis and the subsequent introduction of neo-liberalism in the late 1990s, however, provided critical momentum for radical social change in Korea. The decline of economic and social conditions of the Korean people brought on individualization and demand for equal opportunity and fairness in the competition of a market society. This change has laid the foundation for the emergence of a new type of individualism in Korea, now combined with liberalism. To overcome the many practical difficulties and existential crises that individuals face in this neo-liberal society, however, I argue for the necessity to synthesize liberalism and communitarianism as a prerequisite for the protection of both individuals and societ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