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오늘날 현대사회에서 많은 근로자들이 경기침체 및 코로나19 등으로 인하여 육체적, 정신적 스트레스로 직장에서 느끼는 스트레스는 우울증상 및 자살과 연관되어 있어 이와 같은 정신질환을 예방하고 완화하는 것은 매우 중요해졌다. 본 연구의 목적은 최근 다른 직종의 근로자보다 더 스트레스가 많은 것으로 예상되는 사회복지시설 근로자들의 직무스트레스가 우울과 자살생각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를 미치는지를 살펴보고자 한다. 이러한 분석을 위하여 일개 도 단위 소재 사회복지시설을 임의선정하여 관리자의 동의하에 근로자 323명을 대상으로 자료 수집하였다. 분석방법으로는 IBMSPSS 27.0 Kor 통계프로그램과 SPSS Process Macro 4.1을 사용하여 매개효과(Model 4형), 조절효과(Model 1형), 조절된 매개효과(Model 14형)를 사용하였으며 매개효과 검증을 위해서는 부트스트래핑(bootstrapping) 방법을 사용하였다. 이러한 분석을 위하여 일개 도 단위 소재 사회복지시설을 임의선정하여 관리자의 동의하에 근로자 323명을 대상으로 자료 수집하였다. 분석방법으로는 IBM SPSS 27.0 Kor 통계프로그램과 SPSS Process Macro 4.1을 사용하여 매개효과(Model 4형), 조절 효과(Model 1형), 조절된 매개효과(Model 14형)를 사용하였으며 매개효과 검증을 위해서는 부트스트래핑(bootstrapping) 방법을 사용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첫째, 근로자들의 직무스트레스와 우울(+0.524), 사회적지지(-0.367), 자살생각(+0.232)간에는 유의한 상관관계가 나타났다. 둘째, 근로자들의 직무스트레스와 자살생각사이의 관계는 우울(+0.256)이 완전매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근로자들의 우울과 자살생각간에 사회적지지(-0.069)가 조절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직무스트레스가 우울을 매개로 자살생각에 미치는 영향은 사회적 지지(-0.069)에 의해 조절되어 사회적지지의 조절된 매개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적으로 본 연구의 결과 사회복지시설 근로자들의 직무스트레스가 우울에 미치는 영향과 직무스트레스가 우울을 매개로 자살생각에 영향을 미치는데 있어 완충효과로 사회적지지 역할의 중요성을 확인하였다. 하지만 사회적지지에 대한 선행연구에서는 완충효과의 일관된 연구결과가 나타나지 않았지만 본 연구에서는 사회적 지지의 완충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Today, many workers are exposed to physical and mental stress due to various poor working conditions in modern society, so, the mental health of workers is in a serious condition and workers’ stress is associated with depression and suicide. Hence, it is important to prevent mental stress and alleviate mental illnes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mediating effect of depression and the control of social support or the controlled mediating effect of social support on the suicidal ideation of social welfare facility workers who are expected to have more stress than workers in other jobs. The subjects of the study are randomly sampled 323 workers from the workplaces located in one province, and the data is analyzed using correlation analysis, IBM SPSS 27.0 Kor and SPSS Process Macro process type 4. Type 1. Type 14, bootstrapping is used for mediating effect verification.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re was a significant correlation between workers' job stress, depression, social support, and suicidal ideation. Second, workers' job stress was found to be an important factor in increasing suicidal ideation through depression as meditation. Third, by controlling social support the depression of workers was found to be a factor that alleviated suicidal ideation. Fourth, the social support had a controlled mediating effect because the influence of job stress on suicidial ideation by depression depends on the level of social support. In this study, the buffer effect of social support is confirmed, but in the previous studies on social support did not show consistent results of buffer effect. The findings suggest the importance of social support as a buffer effect of job stress and depression. So, it is hoped that more research should be carried out on the role of social support in the future because the role of social support, the external environment surrounding workers, helps prevent and alleviate problems of mental health of workers in social welfare facilities or other job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