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오늘날 탈종교화 시대, 청년 종교성에 관한 연구는 다층적인 관점에서 산발적으로 전개되고 있다. 하지만 많은 연구가 심리적 동기 등 개인 차원과 이탈 등 종교 조직 차원으로 국한된 설명에 그치는 경우가 많다. 이는 버거와 루크만이 반세기 전에 ‘종교의 사사화’로 규정한 테제를 개인주의 문화에 단순히 이식하고 적용한 결과이기도 하다. 따라서 본 논문은 신자유주의 체제 속 노동 시장을 근간으로 한 다중적 취약성이 교차압력의 문화와 함께 발생하는 ‘다중 압력의 개인화’라는 사회구조적 맥락을 고려하며 청년 종교성의 다양성과 분화에 관한 이론적 성찰을 통해 종교의 사사화 논의를 심화하고자 한다. 한국 사회에서 다중 압력의 개인화는 청년 세대의 구조적 취약성을 드러내며 생존주의적 삶의 전략을 감당하도록 강요한다. 이러한 전방위적 개인화를 두고 청년 세대는 일상과 소비문화 속에서 개성화(개인화)의 양식으로서 ‘진정성’을 추구하는 동시에 성찰적으로 개인만의 기호와 의미 체계를 구성하며 종교를 사사화해 나간다. 따라서 탈종교화 시대에 청년의 종교성은 ‘다중 압력의 개인화’에 따라 다면적인 특성을 보인다. 이로써 청년 세대는 노동 시장에로의 진입과 안착, 개인화된 삶의 과제를 두고 공동체 중심 종교성, 재주술화된 개인 중심 영성, 사회참여적 공공종교성, 실용주의적 종교성, 무종교성으로 사사화된 종교성을 구성한다. 이와 같은 청년 세대의 다면적인 종교성은 청년 종교성의 심층적 분석을 위한 이론적 유형화를 제공한다.


In the era of de-religionization, studies on youth religiosity have developed from multiple perspectives. However, many studies are constrained to individual-level explanations, such as psychological motivation and organizational-level factors, like unchurching. This trend can be traced back to the thesis of the “privatization of religion” that Berger and Luckmann established half a century ago, which has been transposed and applied to an individualistic culture. This paper aims to deepen the discussion on the privatization of religion through theoretical reflection on the diversity and differentiation of youth religiosity. This paper takes into account the socio-structural context of “individualization of multiple pressures”, which coincides with the multiple vulnerabilities rooted in the neoliberal labor market and the culture of “cross pressures.” Within the context of Korean society, the individualization of multiple pressures reveals the structural vulnerabilities of the youth generation, compelling them to cope with survival strategies. The youth generation strives for ‘authenticity’ as a form of individualization in daily life and consumer culture, while reflectively constructing their own preferences, needs, and life meanings. Consequently, in the era of secularization, youth religiosity manifests multifaceted characteristics in response to the “individualization of multiple pressures.” Depending on their integration into the labor market and the challenges of individualized life, the youth generation shapes their privatized religiosity into various forms: (1) institutional religiosity, (2) re-enchanted spirituality, (3) public religiosity, (4) practical religiosity, and (5) non-religiosity. This multifaceted religiosity of the youth generation provides a theoretical typology for in-depth analysis of youth religiosity. As such, this paper contributes to the academic discourse by providing a contextual understanding of the privatization of religion through theoretical reflection on the diversity and differentiation of youth religiosity within the socio-structural context of “individualization of multiple pressur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