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본 연구는 완벽주의와 스트레스 대처방식의 군집에 따른 소진, 교사효능감 및 대인관계 유능성의 차이를 검증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274명의 중등교사를 대상으로 설문 조사한 결과를 바탕으로 군집분석을 한 결과, 다음 네 군집이 도출되었다. 먼저 비완벽주의-적극적 대처집단은 네 집단 중 소진이 가장 낮고 대인관계 유능성은 가장 높았다. 둘째, 완벽주의-적극적 대처집단은 네 집단 중 교사효능감이 가장 높았다. 셋째, 일반수준 완벽성향-대처미흡집단은 네 집단 중 교사효능감과 대인관계 유능성이 가장 낮았다. 마지막으로 일반수준 완벽성향-소극적 대처집단은 네 집단 중 심리적 소진이 가장 높은 것으로 확인되었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본 연구의 시사점과 제한점에 대해 논의하였다.


This study attempted to test the differences in burnout, teacher efficacy, and interpersonal efficacy according to the clusters of perfectionism and stress coping strategy. To this end, as a result of cluster analysis based on the results of a survey of 274 secondary school teachers, the following four clusters were derived. First, in the Non-Perfectionism-Active Coping Group had the lowest burnout and the highest interpersonal competence among the four groups. Second, the Perfectionist-Active Coping Group had the highest teacher efficacy among the four groups. Third, in the General Level Perfectionism Tendency-Inadequate Coping Strategy Group had the lowest teacher efficacy and interpersonal competence among the four groups. Finally, the General Level Perfect Tendency-Passive Coping Group had confirmed to have the highest burnout among the four groups. Based on these results, the implications and limitations of this study were discuss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