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일본어의 「見える」와 한국어의 「보이다」는 시각적 활동을 기반으로 하는 동사로서 동작의 대상을 인식하고, 대상의 모습을 표현하는 등 유사한 점이 많다. 이러한 많은 유사점에도 불구하고「見える」와「보이다」를 비교한 연구는 찾아볼 수 없으며, 「見える」와「보이다」각각의 연구에 있어서도 추가적인 고찰이 필요한 것으로 사료된다. 즉,「見える」의 경우,「-と見える」「-て見える」와 같은 모달리티 형식으로의 쓰임에 초점이 맞추어져 있어「見える」전반에 관한 고찰이 부족하다. 「보이다」의 경우도 윤현애·강현화(2010)에서 코퍼스를 바탕으로「보이다」에 관한 표현 문형을 상세히 고찰하고 있으나, 통사적인 고찰에 머물러 있다. 본고에서는 일본과 한국의 대규모 코퍼스를 사용하여 추출한 실제 사용례를 바탕으로 「見える」와 「보이다」를 실증적으로 분석하여, 「見える」와 「보이다」의 의미・용법을 밝히고 양 형식의 이동(異同)을 밝혔다. 즉,「見える」와「보이다」의 의미·용법은「시각용법」「주관적 판단용법」「객관적 판단용법」등을 나타내고 있어, 그 쓰임의 유사성을 지적하였다. 또한, 사용빈도에 있어서「見える」는「시각용법」이 우세하고, 「보이다」는「주관적 판단용법」이 우세하다는 사실을 밝혔다. 마지막으로,「見える」와「보이다」모두 개인의 주관적 판단뿐만 아니라 불특정 또는 다수의 사람에 의한 객관적인 판단을 나타내고 있음을 지적하였다.


In this paper, we will examine the similarities between the Japanese word "mireru" and the Korean word "poida", which have many similarities, such as recognizing the object of motion and expressing the appearance of the object as a verb based on visual activity. Despite these many similarities, there is no study that compares Japanese "mireru" and Korean "poida", and it is considered that additional consideration is needed for each study of "mireru" and "poida". In this paper, we use a corpus based on examples extracted from various texts to empirically examine sentences in which "mieru" and "poida" are used, describe their meanings and usage, and examine the differences and similarities between the two forms. In other words, the meanings and usages of "mieru" and "poida" represent "visual usage", "subjective judgment usage", and "objective judgment usage", and the similarity of their usage was pointed out. In addition, in terms of frequency of use, it was found that "mieru" was dominated by "visual usage", and "poida" was dominated by "subjective judgment usage". Lastly, it was pointed out that both "mieru" and "poida" can represent not only individual "subjective judgment" but also "objective judgment" by an unspecified number of peopl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