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본 연구는 중학교 국어 교과서의 메타텍스트 181편(총 어절 수 18,561개)을 대상으로 의사소통 목적, 구조적 특성, 어휘적 특성 면에서 장르성을 분석하였다. 의사소통 목적상 메타텍스트는 설명적 성격이 강하나, 설득적 목적 또한 포함되어 있는 경우가 많았다. 이는 설명하기 장르에서 필자가 학습 효과를 강조하며 학습에 참여할 것을 권유하는 목소리와 태도를 직접적으로 드러냄으로써 실현된 것으로, 여타 설명하기 장르에 비하여 특수적이다. 구조적 특성 면에서 메타텍스트는 전반부의 <논의의 기반 수립> 무브와 후반부의 <단원 안내> 무브를 큰 틀로 하며, [화제 관련 경험 또는 배경지식 환기], [주요 학습 내용 안내], [학습 효과] 스텝 등을 포함하고 있었다. 그리고 설득적 목적과 관련된 [필자의 권유]를 직간접적으로 포함하고 있었다. 어휘적 특성 면에서는 사고도구어가 메타텍스트에 사용된 어휘의 1/3을 차지하며 장르적 특성을 대표적으로 보여 주었다. 이는 메타텍스트의 범교과적이며 범영역적인 성격이 사고도구어로 나타난 것이다. 본 연구가 특히 관심을 둔 문법 영역 메타텍스트의 경우, 의사소통 목적은 전체 영역과 유사하게 실현되었다. 그러나 다른 점들도 있었는데, 개별 메타텍스트 분량 면에서 타 영역에 비하여 다소 긴 경향을 보인 반면, 무브와 스텝 개수는 적은 편이었다. 이는 하나의 무브와 스텝에 많은 정보 또는 정보를 서술하는 내용을 제시한다는 것이므로, 문법 영역 메타텍스트의 읽기 부담 정도를 교과서 및 교수학습 구성 시에 고려해 볼 필요가 있을 것이다. 그리고 사고도구어도 타 영역에 비해 특히 많은 편으로 나타났는데, 문법 영역의 사고력 교육적 측면을 반영하는 결과로 해석할 수 있다.


This study analyzed the genre of 181 metatexts in middle school Korean textbooks in terms of communicative purpose, structural characteristics, and lexical characteristics. For the purpose of communication, the metatext has a strong explanatory character, but also contains persuasive elements in many cases. This was realized by directly revealing the voice and attitude of the author emphasizing the learning effect in the explaining genre and recommending participation in learning, and unlike other explaining genres, it was quite typical. In terms of structural characteristics, the metatext mainly consists of the <Establishment of a basis for discussion> move in the first half and the <Lesson guide> move in the second half, [Revive topic-related experiences or background knowledge], [Guide to main learning content], and [Learning effect] It contained steps. And [Author’s recommendation] was directly or indirectly included. In terms of lexical characteristics, it was found that the proportion of academic vocabulary in metatext was quite large. This reveals the cross-curricular and cross-domain commonalities of metatexts and thinking tools. It was confirmed that the metatext of the grammar domain had a similar communicative purpose to that of the whole domain. However, there were also other points. In terms of the amount of individual metatext, it tended to be a little longer than other areas, but the number of moves and steps was small. In addition, the academic vocabulary also appeared to be particularly high compared to other areas, which can be interpreted as a result reflecting the emphasis on the educational aspect of thinking ability in the grammar area.