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본 연구의 목적은 다문화청소년의 사회적 지지가 삶의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고, 두 변인 간의 관계에서 문화적응 스트레스의 매개효과를 분석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의 다문화청소년패널조사(MAPS) 2기 1차년도인 2019년 자료를 활용하였고, 극단값과 이상치가 있는 138명을 제외한 2,108명을 표본으로 선정하여 분석에 포함하였다. 주요 연구결과는 첫째, 사회적 지지, 삶의 만족도, 문화적응 스트레스는 다문화청소년의 유형에 따라 차이를 보였다. 둘째, 다문화청소년의 사회적 지지는 삶의 만족도에 정적인 영향을 미쳤고, 문화적응 스트레스가 두 변인들 간의 관계를 부분매개 하였다. 즉, 사회적 지지를 많이 받더라도 문화적응 스트레스를 관리하지 못하면 삶의 만족도는 높아질 수 없다는 것이다. 셋째, 다문화청소년의 모든 유형에서 문화적응 스트레스의 매개효과가 나타났지만 일부 차이는 있었다. 이러한 결과를 반영하여 정책 및 실천방안으로 사회적 지지와 문화적응 지원을 위한 정책의 고도화, 유형별 맞춤형 서비스 운영체제 구축, 그리고 실효적 실천에 필요한 현장 전문가의 다문화 역량 강화를 제시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effect of social support of multicultural youth on life satisfaction and to analyze the mediating effect of acculturative stress between the two variables. For this, Multicultural Youth Panel Survey (MAPS) of the National Youth Policy Institute (NYPI) was analyzed using data for the first year of 2019, And 2,108 people were selected as a sample. The main research result is first, social support, life satisfaction, and acculturative stress differed according to the types of multicultural youth. Second, the social support of multicultural youth had a positive effect on life satisfaction, and acculturative stress partially mediated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two variables. Third, in all types of multicultural youth, acculturative stress was a partial mediating effect, but there were some differences. From these results, this study proposed the expansion of social support and cultural adaptation, providing customized programs by types, and strengthening the capacity of exper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