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新撰日韓會話』(1904)의 조선어 회화문은『新撰朝鮮會話』(1894)의 가나(仮名) 표기를 한글로 복원한 것이다. 小泉貞造는『朝鮮語』(1894)에 제시된 가나 표기 대응 규칙에 따라 가나를 한글로 변환하였다. 본서에는 구개음화와 비음화를 겪은 어형이 다수 등장하므로, 한글 복원문은 20세기 초 당시의 실제 발음 현실을 잘 반영한다는 점을 알 수 있다. 또한 원문과 교정자 李範益에 의한 수정문을 비교 분석함으로써 19세기 말에서 20세기 초에 걸친 조선어의 변천을 살필 수 있다. 예컨대 속격조사는 ‘-의’의 형태로 통일되고, 부사형접미사 ‘-히’, 부사형어미 ‘-게’의 형태가 정착된다. 한문 훈독체의 문장이 구어체를 반영하는 문장으로 수정되며(-기에> -니ᄭᅡ), 이 연결어미가 종결어미화한 예도 목격된다('-니ᄭᅡᆫ/닛간'). 또한 격식체 종결어미가 비격식체 종결어미로 교체되는 양상이 두드러진다.


The conversational text of Sinchan-ilhan-hoehwa (1904) is a reconstruction of the original Sinchan-Joseon-hoehwa (1894) text written in Kana (仮名). Koizumi Teijo (小泉貞造) translated Kana into Hangeul according to the Hangeul-Kana correspondence rules presented in Joseon-eo (1894). Because the examples of palatalization and nasalization occur commonly in Sinchan-ilhan-hoehwa, it is concluded that the reconstructed Hangeul text reflects the actual pronunciation at that time. In addition, by comparing the original text with the revised text by the proofreader Lee Beom-ik (李範益), the linguistic changes can be observed from the end of the 19th century to the beginning of the 20th century. For example, the genitive particle is unified in the form of '-ui', and the form of the adverbial suffix '-hi' and the adverbial ending '-ge' are used widely. The translated Chinese style sentences are modified into the colloquial style sentences (-kie> -niska), and these connective endings are changed to final endings ('-nikkan/niskan'). In addition, the formal final endings are frequently replaced by the informal final ending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