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김수영의 「시여, 침을 뱉어라」(1968)에는 그 자신이 밝힌 것 이상으로 하이데거의 영향이 강하게 드러나 있다. 기존 연구가 지적한 대로 하이데거로부터 ‘세계’와 ‘대지’ 개념을 차용한 것 외에도, ‘모험’, ‘충격’, ‘시작’ 등의 일상적 어휘 역시 하이데거가 그 단어를 사용한 맥락을 참조한 흔적이 발견된다. 이를 통해 우리는 「시여, 침을 뱉어라」의 후반부에서 개진되는 김수영의 “참여시의 효용성”에 대한 주장 또한 일정 부분 하이데거와의 대화에 힘입은 것임을 확인할 수 있게 된다. 이 부분을 일찍이 간파하고 간략하나마 논평을 남긴 것은 백낙청이었는데 그의 「역사적 인간과 시적 인간」(1977)은 김수영과 유사한 방식으로 하이데거를 전유하여 이를 ‘민족문학론’의 한 토대로 삼은 사례이기도 하다. 요컨대 하이데거라는 교량을 사이에 두고 김수영과 백낙청의 시학적 대화가 이루어진 순간이 있다고 할 것이다. 그 대화를 되돌아보면 그것은 결국 예술이 한 시대의 ‘존재 이해’ 패러다임을 어떻게 바꿀 수 있는가를 주제로 한 것이고, 이는 결국 시의 역사철학적 역할에 대한 논의라고 규정해볼 수 있다. 본고는 김수영과 백낙청의 하이데거 해석 방식을 이해하는 데 유용한 휴버트 드레이퍼스의 하이데거 해설을 참조하여, 김수영과 백낙청이 공유한 시론의 일단을 드러내 보려 한다. 물론 본고는 하이데거, 김수영, 백낙청 각각에 대한 본격적인 연구가 될 수 없으며 그들의 작업 중 일부만을 제한적으로 다룰 수밖에 없다는 점을 밝혀둔다. 세 사람 각자가 아니라 그들의 교차점에 초점을 맞추는 것, 그리고 그 교차점에 오늘날 배울 것이 여전히 있는지를 성찰해 보는 데에 본고의 작은 목표가 놓여 있기 때문이다.


In Kim Soo-young’s “Poetry, Spit”(1968), Heidegger’s influence is more evident than he reveals. In addition to borrowing the concepts of “world” and “earth” from Heidegger, everyday vocabulary such as “adventure,” “shock,” and “begin” can be found to refer to the context in which Heidegger used the word. Thus, we can confirm that Kim Soo-young’s argument about the “effectiveness of participatory literature” in Poet, Spit is also based on his conversation with Heidegger. It was Baek Nak-cheong who saw through this part and left a brief commentary earlier, and his “Historical and Poetic Human”(1977) is also an example of using Heidegger as a basis for “National Literary Theory” in a similar way to Kim Soo-young. In short, there is a moment when there is a dialogue of poetics between Kim Soo-young and Baek Nak-cheong with a bridge called Heidegger. Looking back on the conversation, it is ultimately about how art can change the paradigm of ‘understanding being’ of an era, which can be defined as a discussion of the historical-philosophical role of poetry. Drawing on the work of Hubert Dreyfus, which is useful for understanding Kim Soo-young’s and Baek Nak-cheong’s understanding of Heidegger, this essay attempts to reveal one aspect of the poetics shared by Kim Soo-young and Baek Nak-cheong. Of course, this essay cannot be a full-fledged theory of each of Heidegger, Kim Soo-young and Baek Nak-cheong, and has no choice but to deal with only a limited part of their work. This is because the small goal of this essay is to focus on their intersection, not on each of the three, and to reflect on what is lacking in contemporary poetics at this intersec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