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이 논문은 이민진의 소설 『파친코』와 Apple TV의 시리즈 <Pachinko>를 교차분석함으로써 식민지 조선의 ‘영도’와 일본 오사카의 ‘이카이노[猪飼野]’라는 장소에 얽힌 차별의 정치성과 편재하는 권력 작용을 밝히려 한다. 차별의 경계는 국가, 인종, 성별, 장애, 직업, 젠더, 질병, 신분 등 매우 광범위하게 포진되어 있다. 차별의 서사는 ‘자이니치[在日]’에만 국한되지 않고, 제국과 식민의 관계를 넘어 일본 사회의 정상가족 담론에서 배제된 소수자들(부라쿠민, 장애인, 동성애자 등)과 ‘멋진 신세계’로 표상되었던 미국 사회의 근대적 표상에서 배제된 아시아 이민자들(솔로몬)의 삶에도 관여되어 있다. 때문에 이민진의 소설을 분석하면서 식민지 시절 일본으로 건너간 재일조선인들이 제국주의 사회에서 겪었던 민족적 한(恨)에만 초점을 둔다면 얼굴을 바꾸며 등장하는 차별의 낙인들을 제대로 번역하기 힘들어진다. 특히 시간의 흐름을 충실히 따르면서 구성된 소설 『파친코』와 달리 드라마 <Pachinko>는 이민자 1세대인 ‘선자’와 3세대인 ‘솔로몬’의 서사를 동시에 전경화하면서 식민시대와 1970년대 자본주의 풍경을 번갈아 보여주기 때문에 원작과 드라마의 교차 분석은 탈시간적 차별의 편재성을 드러내는 데 효과적일 것으로 판단된다. 이런 관점에 입각해 본 연구는 소설 『파친코』와 Apple TV의 시리즈 <Pachinko>를 함께 살피면서 서사에 담겨있는 다양한 차별의 양상과 그 의미를 환대와 장소성의 개념을 매개하면서 살펴보려 한다. 고향 영도는 식민지배의 공간으로서 제국 권력의 타자성과 가부장적 질서, 비과학적 생리학, 보수적 성관념이 덧칠된 차별의 장소였다. 또 이들이 이주한 이카이노는 제국 내 게토로서 국적, 인종, 언어, 재산권, 성원권 등의 권리로부터 차별적으로 배제되는 장소였다. 재일조선인들은 이후 대한민국이나 북한의 국적도 아니고 일본 국적도 아닌 사라진 나라 ‘조선’의 국적을 가진 사람들이 되면서 어떤 장소에도 소속되지 않는 존재로 남겨진다. 그들이 거주하는 일본 사회는 이들에 대한 성원권 부여를 지속적으로 유예하고 지연시킴으로써 제국의 외부를 형성하고 경계선을 긋는 방식으로 생명정치 권력을 구성한다. 이러한 장소성에 얽힌 차별적 권력작용을 기반으로 인물들의 장소 이동과 시간의 흐름을 추적하면서 차별의 장소성과 환대의 가능성을 진단한다. 먼저 영도라는 장소를 중심으로 고한수과 백이삭의 등장이 가진 낙인과 환대의 의미를 밝히고, 다음으로 일본으로 이주한 조선인들이 직면한 차별의 낙인들을 ‘이카이노’라는 장소성을 중심으로 분석한 후, 절대 생존을 위한 그들의 탈정치적 삶의 태도가 어떤 결과로 이행하면서 생명정치에 포획되는지를 분석한다. 더불어 재일조선인들만이 아니라 부라쿠민, 동성애자, 사회적 패배자 등 일본 사회 내에서 차별받는 일본인들의 서사를 분석하면서 차별의 작동이 폭넓게 작동하고 있다는 점을 밝히려 했다. 절대 생존의 삶-권력이 결국은 조건적 환대의 문턱을 넘지 못하며 결국은 회한의 눈물로 귀결된다는 것을 ‘비상과 추락’이라는 수직적 시퀀스 분석을 통해 드러내려 한다.


This study cross-analyzes Lee Min-jin’s novel 『Pachinko』 and the Apple TV series <Pachinko>. Through this, it is intended to reveal the politics of discrimination and the omnipresent power operation entangled in the place of ‘Yeongdo’ in colonial Joseon and ‘Ikaino’ in Osaka, Japan. The boundaries of discrimination are very broad, such as country, race, gender, disability, occupation, gender, disease, and status. The narrative of discrimination is not limited to ‘Zainichi’, but goes beyond the relationship between empire and colonization, and is also involved in the lives of minorities excluded from the normal family discourse in Japanese society and Asian immigrants excluded from American society. Therefore, if we focus only on the national resentment experienced by the Zainichi Koreans who moved to Japan during the colonial period while analyzing Lee Min-jin’s novel, it will be difficult to properly translate the stigma of discrimination that appears as they change their faces. In particular, unlike novels, the drama <Pachinko> foregrounds the narratives of the first-generation immigrant, ‘Seonja’ and the third-generation, ‘Solomon’ at the same time. It alternately shows the colonial era and the capitalist landscape of the 1970s. Therefore, cross-analysis of the original work and the drama will be effective in revealing the ubiquity of post-temporal discrimination. Hometown Yeongdo, as a space of colonial rule, was a place of discrimination overlaid with the otherness of imperial power, patriarchal order, unscientific physiology, and conservative sexuality. In addition, Ikaino was like a ghetto in which rights such as nationality, race, language, property rights, and membership were discriminated against. Zainichi Koreans are left as beings who do not belong to any place as they become people with the nationality of the disappeared country ‘Chosun’, not the nationality of South Korea or North Korea, nor the nationality of Japan. The Japanese society they live in constitutes biopolitical power in a way that shapes and demarcates the outside of the empire by continuously deferring and delaying the granting of membership rights to them. Based on the differential action of power entangled in this sense of place, I try to diagnose the placeness of discrimination and the possibility of hospitality by tracing the movement of the characters and the flow of time. First, the meaning of the stigma and hospitality of the appearance of Hansoo Koh and Isak Baek was examined, focusing on the place of Yeongdo. It analyzes the result of their post-political life attitude for absolute survival and how they are captured by biopolitics. In addition, by analyzing the narratives of Japanese people who are discriminated against in Japanese society, such as Burakumin, homosexuals, and social losers, as well as Zainichi Koreans, I tried to reveal that discrimination is operating widely. Through the analysis of the vertical sequence of ‘elevation and fall’, I intend to reveal that the life-power of absolute survival cannot cross the threshold of conditional hospitality and ultimately results in tears of remor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