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이 논문은 봉준호 감독이 기획․제작하고 심성보 감독이 연출한 영화 [해무](2014)가 그리고 있는 생명정치 현상과 생명정치 사건이 일어나는 바다 시공의 재현양상을 논구하고 있다. 영화 [해무]는 제7 태창호 해양사고․사건(질식사․사체 유기)을 중심 모티프로 한 김민정의 동명의 사실주의 희곡을 저본으로 다원적․변형적으로 각색된 텍스트이다. 먼저 영화 [해무]는 신자유주의의 공세에 따른 자본주의적 징후들이 한국 사회 안팎을 드리우며 생존의 위기감을 증폭시킨 IMF 시대(1998년, 여수)를 배경으로 한다. 폐선 위기에 처한 낡은 안강망(鮟鱇網, 통그물) 어선 ‘전진호’ 선원들의 평균적인 일상성, 선상의 고유한 삶의 양태를 장면화하고 몽타주하여 프롤로그에서 전사(前事)로서 구축하고 있다. 무엇보다 영화의 내러티브는 조선족 밀항자의 ‘벌거벗은 생명’과 레비나스의 ‘타자성’을 약호로 추동되고 있다. 이들 약호를 바탕으로 공해(公海)에서 일어나는 조선족 밀항자 무리의 생명을 대상으로 한 ‘생명정치적 사건’과 나와 다른 타자와의 인격적인 만남이자 근원적인 관계인 에로스와 여성적인 것으로서의 ‘타자성의 사건’을 평행․상충시킨다. 이에 따라 영화 [해무]의 의미망은 생명정치적 메시지와 타자의 책임(사랑) 윤리의 메시지가 변증되면서 생명에 대한 윤리적 물음을 내장한 ‘에토스 정치(ethopolitics, 윤리정치)’의 한 국면으로 나아간다. 본고는 생명을 대상으로 한 통치술(권력행사)로서의 생명정치 개념을 처음 도입한 푸코의 사유와 이를 바탕으로 재해석․보완한 아감벤의 생명정치 담론에 의지하여 영화 [해무]가 그리는 생명정치와 바다 시공의 재현양상을 내러티브와 의미지형을 중심으로 분석하고 있다. Ⅰ장에서는 조선족 밀항자 무리의 ‘벌거벗은 생명(Homo Sacer)’과 죽음의 권리에 방점을 둔 주권권력(강선장)의 생살여탈권(生殺與奪權) 간의 관계를 바탕으로 생명정치 메커니즘의 작동을 살펴보았다. 이어서 막내 어선원인 한국 청년 동식과 밀항자인 조선족 처녀 홍매를 중심으로 전개되는 타자성의 사건과 이를 통해 동식이 윤리적 주체로 나아가며 생명을 살리는 긍정의 생명권력으로 이원화되는 맥락을 분석하였다. Ⅱ장에서는 생명정치 사태가 일어나는 바다 현장의 시공간 측면에서 ‘어창’의 비/장소성과 공해상의 ‘해무’의 시간성을 분석하고 알레고리적 함의를 해석하였다. 현대의 바다 나아가 세계 곳곳에는 비극적인 생명정치 현상이 편재해 있으며 지금도 현재진행형이다. 본고는 영화 [해무]가 생성시키는 의미망을 통해 동시대의 존재 양상을 성찰하고 위태롭고 상처받기 쉬운 타자의 생명에 대한 책임(사랑) 윤리에 대한 물음 및 그 실천 가능성을 타진해 볼 수 있다는 점에 의의를 둔다. 나아가 본 논의가 봉준호 감독의 몇 개의 영화 텍스트가 일정 부분 내포․비유하고 있다고 여겨지는 생명정치 양상에 대한 층위로 연계․확장될 수 있는 계기가 되길 기대한다.


This This article discusses the biopolitics and the imagination of the sea on the film ‘Haemoo(sea fog)’, which was collaborated by director Bong Joon-ho and director Shim Sung-bo. Based on Kim Min-jung’s successful play of the same name, the film ‘Haemoo’ is a marine-based drama genre. Namely from a genre perspective, the film ‘Haemoo’ is a drama film that combines elements and senses of various sub-genres, such as crime, thriller, horror, romance, and maritime film genres. The film ‘Haemu’ is set in the IMF era (1998) in which signs of capitalism’s transition to the global market cast a cloud over Korean society amid the offensive of neo-liberalism. First, the entire narrative structure of the film ‘Haemu’ begins with a prologue and title sequence, followed by the main sequences and an epilogue sequence. Like marine literature, the film ‘Haemu’ takes the sea, ship, and voyage (or stowaway) as the basis of the narrative component. In the prologue, images of old stow net fishing boat(‘Jeon Jin ho’) floating on the sea in the morning, day, and night are drawn as the setting space of the film ‘Haemoo’. Next the daily world of fishing crew community on the ship consists of vivid and near-perfect hyperrealistic scenes. And the individual personalities of the six sailors, the main characters, are portrayed with liveliness. Meanwhile the narrative of the film ‘Haemu’ is composed of codes for the biopolitical body(‘Homo sacer’) and the otherness of Korean-Chinese stowaway. Through these codes, biopolitical situation in which a group of Korean- Chinese stowaways are encountered on a sea route intersects the case of otherness as a face-to-face meeting between Dong-sik, the youngest sailor, and Hong-mae, a Korean- Chinese maiden. As these two narrative axes collide, the semantic net of the film ‘Haemoo’ eventually moves toward a phase of ‘ethopolitics’ by asking questions about the way humans exist and otherness. At the same time, it creates a lonely and desolate emotional atmosphere as a genre of marine drama. This paper methodically relied on Foucault and Agamben’s biopolitics discourse, and in another axis, the discussion was developed based on Levinas’s philosophy of otherness. In the first chapter of the text, the process of generating a group of Korean-Chinese stowaways into naked life(‘Homo Sacer’) by the sovereign power exercised by the ship’s captain. In other words the power of life and death exercised exclusively by Captain Kang, who represents sovereign power was analyzed based on the life-political mechanism. Subsequently, the aspect of bio-power (biopolitics) in contrast to the axis of the biopolitics narrative of the tyrannical sovereign power focused on death was analyzed through the new subjectivation process of the youngest sailor Dong-sik. In particular, the bio-poewr carried out by Dong-sik is embodied in an existential aesthetics that fulfills the ethics of the other person’s responsibility(love) to protect the life of Hong-mae until the end. On the other hand, in Chapter 2 the aspect of the film ‘Haemoo’ which actively uses the imagination of the sea was discussed. The symbolic and allegory meaning of ‘fish hold storage’ was analyzed through the concept of nonplace/placeness. And the ontological meaning and symbols of sea time surrounded by sea fog were interpreted. In the modern ocean and around the world, not only is there a widespread phenomenon of tragic biopolitics but it is still ongoing. Therefore the semantic question and the possibility of practicing the ethical politics of life thrown by the film ‘Haemu’ are noteworth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