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본 연구의 목적은 유아기 자녀를 둔 아버지를 대상으로 원가족 건강성이 양육 태도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고 30-40대 아버지의 가족 건강성의 매개효과를 밝히는 것이다. 이에 따라 경기도 K시에 위치한 유치원을 다니고 있는 재원생 아버지 207명의 데이터를 분석하였다. 자료는 SPSS 26.0을 사용하여 빈도분석, Pearson 적률상관분석, 회귀분석, Bootstrapping 매개효과 유의성 검증 등을 실시하였다. 연구문제에 따라 결과를 살펴보면 아버지의 원가족 건강성, 가족 건강성, 양육 태도는 정적 상관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아버지의 원가족 건강성과 양육 태도 간의 관계에서 가족 건강성은 부분 매개효과가 있었다. 이러한 점은 아버지의양육 태도에 원가족 건강성과 가족 건강성이 유의미한 영향이 있음을 나타냈다. 따라서 아버지들의 가족 건강성을 강화할 수 있는 프로그램 개발, 아버지를 위한 정보 전달 등이 이루어진다면 자녀의 원가족 건강성에도 긍정적 영향을 줌으로써 양육 태도에 긍정적인 영향을 줄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effect of family of origin health on childrearing attitudes in fathers with children in infancy and to find out the mediating effect of family health of fathers in their 30s and 40s. Accordingly, the data of 207 fathers attending kindergartens located in K-city, Gyeonggi-do were analyzed. For the data, frequency analysis, Pearson-correlation analysis, regression analysis, and bootstrapping mediating effect significance verification were conducted using SPSS 26.0. Looking at the results according to the research question, the father's family of origin health, family health, and parenting attitude appeared to be positively correlated. Finally, in the relationship between father's family of origin health and parenting attitude, family health had a partial mediating effect. This significant affects father's parenting attitude on family of origin health and family health. Therefore, if a program that can strengthen the family health of fathers is developed and information is delivered to the fathers, it will have a positive effect on the health of the child's family of origin, thereby positively affecting the parenting attitud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