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본 연구는 신라가 동남방면 특히 고대 부산지역에 대한 영역화를, 왜와의 갈등 양상과 신라의 鎭 설치에 주목하여 간접(인적) 지배에서 직접(영토) 지배로 전환되는 과정으로 구체화해보고자 하였다. 왜는 금관가야와 거칠산국의 협조 또는 묵인 하에 낙동강과 동남해 방면에서 신라를 공격해왔다. 이에 신라는 경주로 진입하는 교통로에 있던 거칠산국(부산)을 복속시켰고, 5세기 전반부터 양산을 거점으로 낙동강 하구에 진출하였다. 5세기 중후반부터는 전함을 수리하거나 관도를 정비하고 왜의 주요 공격지에 臨海‧長峯鎭을 설치하는 등의 선제 조치를 통해 방어체제를 강화하였다. 왜를 방어하기 위해 설치한 長峯鎭은 양산 물금 인근으로, 臨海鎭은 대마도가 조망되면서 왜의 북상을 저지할 수 있는 부산 수영강 하구 배산 일대로 추정된다. 上代 신라의 鎭을 검토한 결과, 臨海·長峯鎭은 진출이나 방어의 최전방 군사거점으로 군사령관(鎭主)과 戍卒이 주둔하였지만 중대 이후에 보이는 軍鎭처럼 지방지배를 포함한 개념은 아니었다. 6세기 전반에서야 신라는 부산의 다대포를 점령하고 금관가야를 병합했는데, 인근에 임해진이 있었는데도 이사부는 점령지 다대포로 군량을 조달하지 못했다고 한다. 이로 미루어 임해진을 포함한 거칠산의 재지사회는 6세기 전반 단계에 지방지배체제로 편제된 곳이 아니었기 때문에 인근의 다대포로 군량을 조달하지 못했던 것이다. 임해진은 중대 이후에 출현하는 지방지배를 포함한 軍鎭이 아니라 군사거점이었다는 上代 신라의 鎭의 특징과도 일치한다. 또한 임해진이 있던 고대 부산지역은 지방지배체제 편제 이전 단계였음을 알 수 있었다. 김해 금관가야가 멸망한 후, 왜의 최전방 방어거점이자 가야에 대한 최전방 진출거점이었던 두 진은 해체되었을 가능성이 크다. 하지만 6세기 중반 이후 신라는 왜에 사신을 파견하기 시작하는데, 이는 안정적인 지방지배체제를 기반한 방어체제가 구축되어야 가능한 것이다. 신라는 임해진을 해체하고 지방지배와 海防 거점 기능을 동시에 수행하는 배산성을 축조하여, 고대 부산지역을 지방지배체제로 재편하였다.


This study attempted to materialize the process of Silla's entry into the southeast, especially in the ancient Busan area, through the aspect of conflict with Japan and the establishment of Silla's Jin(鎭). The Japanese have attacked Silla from the Nakdong River and the southeast sea with the cooperation or the tacit approval of Geumgwan-Gaya and the Geochilsan-Guk(Busan). The reason why Silla entered the Geochilsan-Guk was because it was on the transportation route to Gyeongju, and from the first half of the 5th century, it entered the mouth of the Nakdonggang River based on Yangsan and pressured Geumgwan-Gaya. In the mid-to-late 5th century, the defense system was strengthened through preemptive measures such as repairing battleships, maintaining national roads, and installing Imhae-Jin(臨海鎭) and Jangbong-Jin(長峯鎭) at major Japanese attack sites. Jangbong-Jin was located near Yangsan Mulgeum, and Imhae-Jin is believed to be around Baesan Mountain at the mouth of the Suyeong River in Busan, where the Daemado Island can be seen and prevent the Japanese from moving northward. Through a review of the upper Silla Dynasty's Jin, Jin was first stationed with a military commander(鎭主) and a defenders(戍卒), secondly installed at the forefront of entry or defense, and thirdly, it seems that it was a lower military base than the Ju(州) and higher than the fortress(城). It was not a concept that included local governance like the a military district(軍鎭) seen after the middle Silla. It was not until the first half of the 6th century that Silla occupied Dadae-Po in Busan and annexed Geumgwan Gaya. Considering that Isabu was unable to supply and demand military supplies locally after occupying Dadae-Po, Imhae-Jin was a military base, not military district(軍鎭), including local dominions that emerged after the middle Silla. It can be seen that the ancient Busan area where Imhae-Jin was located was also in the stage of human control (indirect control), not territorial control (direct control). Since the fall of Geumgwan Gaya, the two Jins, which were the front-line defense base for Japan and the front-line base for Gaya, are likely to have been disbanded. However, after the mid-6th century, Silla began to send envoys to Japan, which is possible only if the establishment of a defense system was established. Silla dismantled Imhae-Jin and reorganized the ancient Busan area into a local control system by building Baesan-Fortress, which simultaneously served as a regional governance and maritime ba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