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그리스어에 기원을 두고 있음에도 토포스(τόπος)는 현대적 용어이다. 『변증론』에서 그 용어를 처음 사용한 아리스토텔레스와 그 이후 저자들이 그용어를 번역하지 않았기 때문에, 그 용어 정의의 책임은 현대 학자들이 떠안게 되었다. 커티우스가 클리셰라는 그의 토포스 정의를 내놓은 이후, 학자들은 그것을 정의하기 위해 시도해왔다. 그 중, 아브라함 말허비와 요한 톰은토포스의 개념을 이해하는 데 괄목할 만한 기여를 했다. 그들을 따라서, 나는 토포스를 전통적 주제와 이를 다루는 관습적 방식을 포괄하는 문화적 현상으로 정의할 것을 제안한다. 이 정의를 통하여, 나는 독자들에게 그 용어에 대한 더욱 보편적이고 실제적인 이해를 제공하고자 한다. 고대 문화의 그릇으로서, 더 나은 토포스의 이해는 우리로 하여금 원래 저자와 독자의 것에 더 가까운 관점에서 고대 문헌을 읽도록 돕는다.


Despite its origin in the Greek language, topos is a modern term. As Aristotle, the one who used the term first in Topica, and his successors never defined it, the burden to define the term is handed over to modern scholars. Since Curtius brought up his definition of topos as cliché, scholars have attempted to define it. Among them, Abraham J. Malherbe and Johan C. Thom remarkably contributed to understanding the concept of topos. Following them, I propose to define topos as a cultural phenomenon including traditional topics and conventional ways of dealing with them. With this definition, I would like to provide readers with a more universal and practical understanding of the term. As a container of ancient culture, a better understanding of topos helps us to read the ancient texts from a perspective closer to that of original writers and reader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