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본 연구는 4년제 대학교 재학생이 지각한 대면, 비대면 강의 질, 학습참여, 학습만족도, 학업지속의향 간의 구조적관계를 밝히는 데 목적이 있다. 수집된 자료는 SPSS 25.0과 Amos 26을 활용하여 기술통계, 상관분석을 실시하고난 후, 구조방정식 모형과 매개효과를 검증하였다. 독립표본 t검증으로 저학년(1, 2학년), 고학년(3, 4학년)의 차이를확인하였다. 첫째, 대면, 비대면 수업내용은 학습참여, 학습만족도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쳤다. 둘째, 대면, 비대면수업에서 상호작용은 학습만족도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쳤다. 셋째, 대면 수업의 학습환경은 학습만족도에 직접적인영향을 미쳤다. 넷째, 학습참여는 학습만족도에 유의한 영향을 미쳤다. 다섯째, 비대면, 대면 수업내용은 학습참여, 학습만족도를 이중 매개하여 학업지속의향에 간접적인 영향을 미쳤다. 여섯째, 비대면, 대면 수업에서의 상호작용은학습만족도를 매개하여 학업지속의향에 간접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을 확인하였다. 일곱째, 대면 수업의 학습환경은학습만족도를 매개하여 학업지속의향에 간접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을 확인하였다. 여덟째, 저학년과 고학년은 학습참여에서 인지참여와 행동참여에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학생들의 학습참여율을 높일수 있는 방안을 모색해야 할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structural relationship between Online·Offline Instructional Quality, Student Engagement, Learning satisfaction, Academic Persistence Intention of University Students.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using SPSS 25.0 program and Amos 26.0 programs. The difference between the lower grades (1st and 2nd grade) and the upper grade (3rd and 4th grade) was confirmed by independent sample t-test. First, the contents of Online and Offline lectures had a direct effect on student engagement and learning satisfaction. Second, interaction in online and offline lectures had a direct effect on learning satisfaction. Third, the learning environment of Offline lectures had a direct effect on learning satisfaction. Fourth, student engagement had a significant effect on learning satisfaction. Fifth, the contents of online and offline lectures affected the academic persistence intention by dual mediating effects of student engagement and learning satisfaction. Sixth, Learning satisfaction fully mediated the effect on interaction in online and offline lectures and academic persistence intention. Seventh, Learning satisfaction fully mediated the effect on interaction in the learning environment of offline lectures and academic persistence intention. Eighth, the lower and upper grades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s in cognitive engagement and behavioral engagement in student engagement. Based on these findings, it suggests that we should seek ways to increase student engagement in learnin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