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본 연구에서는 한국판 대인관계 유능성 척도가 개발된 2010년부터 2020년까지 10월까지 국내에서 연구된 학술지논문 54편을 바탕으로 대인관계 유능성 연구의 일반적인 동향, 대인관계 유능성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그리고 후속연구를 위한 제언 내용을 분석하였다. 이를 통해 대학생의 대인관계 유능성 연구 활성화를 위한 기초자료 및 추후진행해야 할 연구 방향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첫째, 대학생의 대인관계 유능성에 관한 연구의 일반적인 현황은 2010년 이전에는 연구가 저조하였으나, 2011년이후로 증가하기 시작하였다. 대학생의 대인관계 유능성과 다른 변인 간의 관련성 및 영향력을 탐구한 연구(90.7%)가가장 많이 이루어졌다. 둘째, 대학생의 대인관계 유능성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개인 내적 특성 요인, 가족 및 사회관계요인, 학업 및 진로 요인, 태도 및 행동 관련 요인, 복합 요인 및 기타 요인 등 5가지 범주로 나누어 비교 분석하였다. 대학생의 대인관계 유능성에 가장 많은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개인 내적 특성 요인(44.6%)으로 나타났다. 셋째, 대학생의대인관계 유능성에 관련된 후속 연구를 위한 제언으로는 연구 대상을 다양하게 확보하고, 자기보고식 설문지를 활용한연구의 한계를 극복하기 위해 연구 방법의 변화를 도모해야 한다는 내용의 제언이 가장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분석 결과에 근거하여 시사점 및 제한점, 후속 연구의 방향을 제공하고자 한다.


Fifty-four studies on interpersonal competence, which had been published between the year of 2010 and 2022 in Korea, were examined to understand general trends in this field and to make suggestions for future directions. Through this research, I would like to present descriptive data of the papers and future research direction for promoting interpersonal skills of university students. First, though the number of research regarding the interpersonal competence of university students was insufficient before 2010, the number began to increase after 2011. The major research stream focused on quantitative research(90.7%). Second, the studies indicate that the main factors that affect interpersonal competence of university students can be categorized into three topics: internal personality, family and social relations, and combinational and other factors. Among the topics, internal personality(44.6%) proves the most influential. Third, the most papers suggested that follow-up research expand the subjects of research in order to capture the greater diversity and seek changes in research methods to overcome the limitations of research using self-reporting questionnaires. To this end, this study aims at revealing limitations of current research and suggesting implications and future research direction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