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본 연구의 목적은 대학생의 셀프리더십과 학습성과 간 관계에서 긍정심리자본의 매개효과를 검증하는 것이다. 연구대상은 3개 지역 소재 4년제 대학에 재학 중인 대학생 251명으로(남학생 116명, 여학생 135명), 자료의 분석을위해 SPSS PROCESS MACRO를 사용하였다. 연구결과 대학생의 셀프리더십과 긍정심리자본, 학습성과 간에는 유의미한정적 상관이 있었다. 그리고 셀프리더십과 학습성과 간의 관계에서 긍정심리자본이 부분매개효과가 있는 것으로나타났다. 긍정심리자본 전체와 긍정심리자본의 하위요인 중 자기효능감, 희망, 복원력은 부분매개효과가 있었으나, 낙관성의 부분매개효과는 유의하지 않았다. 본 연구는 대학생들의 학습성과에 셀프리더십과 긍정심리자본이 직ㆍ간접적으로 유용하다는 사실을 검증함으로써 고등교육 현장에 유용한 정보를 제공했다는 의의가 있다.


The purpose of the study was to examine the mediating effect of positive psychological capital between self-leadership and learning outcomes of university students. Accordingly, 251 students(116 male and 135 female) were sampled from universities in three regions. The SPSS PROCESS MACRO was used to analyze the data.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First, there are significant correlations among self-leadership, positive psychological capital, and learning outcomes. Second, positive psychological capital, self-efficacy, hope and resilience partially mediated in the relationship between self-leadership and learning outcomes. However, there is no partial mediating effects of optimism. In conclusion, both self-leadership and positive psychological capital effectively influence university students' academic achievement. The study provides valuable information for higher edu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