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본 연구는 오늘날 한국의 중학 사회과 교과서의 내용이 다양한 세계시민교육의 유형 중 어떠한 유형들로 구성되어있는지 분석하고 이를 홍콩 및 일본의 중학 사회 교과서와 비교함으로써, 오늘날 한국의 세계시민교육의 실태와그 발전방향에 대해 논의하고자 하였다. 이에 교과서의 서술 내용과 방식을 세계시민교육 유형 및 UNESCO TLO의 기준에 따라 내용 분석의 방식을 통해분석하였다. 그 결과 한국 중학 사회 교과서는 다른 국가들과 비교하여 세계시민교육의 유형에서 신자유주의적인내용에 치우쳐 인도주의적인 내용 및 비판주의적인 내용이 부족했다. 또한 학습 영역에서는 인지적인 영역에 치우치고사회정서, 행동적인 내용 요소들도 결여되어 있었다. 일본의 중학 사회(공민) 교과서는 세계시민교육의 인도주의적인유형이 주를 이루었으나 내포된 내용이 신자유주의적, 국가주의적인 의도를 지니고 있었다. 한편, 학습 측면에서는비교적 각 영역이 균형적인 모습을 보였다. 홍콩의 중학 사회 교과서는 대부분 인지적이고 신 자유주의적인 내용에경도되어 있으나 세계화에 대한 비판적인 모습도 상세히 보여주었다. 마지막으로, 세 국가의 교과서는 모두 정치적인영향을 받는 모습을 보였으며, 이에 신자유주의적인 형태를 지닌 국가주의적 서술로 학생들을 국가 경쟁력의 도구로삼고자 하는 시도가 나타났다. 이러한 비교 분석 결과에 따라 한국 사회과 교과서에서는 비판주의적인 세계시민교육 유형에 대한 내용을 증강하고, 신자유주의 유형에 치우친 서술 및 국가주의적 서술 제시에 유의해야 할 것이다. 또한 학생들이 세계시민으로서성장하는 데 필요한 인도주의적이고 비판주의적인 서술 내용이 풍부하게 제시되어야 할 것이다. 이와 같은 보완을통해 한국 사회과의 세계시민교육이 더욱 정의로운 세계를 만드는 세계시민을 육성하는 데 도움을 줄 수 있게 될것이다.


This study analyzes the current state of global citizenship education in South Korea, as reflected in its middle school social studies textbooks, and discusses its future direction by comparing it with that of Hong Kong and Japan. The contents and methods of the textbooks were analyzed through content analysis, based on the types of global citizenship education and the criteria of UNESCO's TLO. The results show that compared to other countries, South Korea's middle school social studies textbooks are inclined toward neoliberalism, lacking in humanitarianism and critical content. Regarding learning domains, cognitive elements were emphasized over socio-emotional and behavioral aspects. Japan's middle school social studies textbooks focused on humanitarianism; however, contained a nationalistic tendency toward neoliberalism. They were relatively balanced in terms of the learning domains. Hong Kong's middle school social studies textbooks were mostly cognitive and neoliberal in nature and critically reflected globalization. Overall, all three countries' textbooks were influenced by political factors and tended to depict students as tools for national competitiveness in nationalistic and neoliberal discourse. Based on the comparative analysis, South Korea's social studies textbooks should incorporate more critical global citizenship education, which has been overlooked despite its importance in public education. Attention should also be paid to the tendency toward neoliberal and nationalistic discourse in textbooks. Furthermore, textbooks should present rich contents on humanitarianism and the critical reflections necessary for students to grow as global citizens. Through such complementation, the execution of global-citizenship education in South Korean social studies could contribute to the cultivation of citizens who can create a more just worl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