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본 연구는 성인의 삶의 만족도에 학력이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고 평생학습 참여여부의 조절효과를 분석하는 데목적이 있다. 개인의 삶을 긍정적으로 변화시키는 데 유의미한 활동으로서의 학교교육은 삶의 만족도와 밀접한 관련성을보이지만 학교교육에서의 선발 및 평가과정은 학력의 격차를 유발하며 이는 삶의 질에 있어서의 불평등을 야기하는요인이 될 수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학교교육과 삶의 만족도 간의 관계를 분석하되, 학력에 따른 삶의 질 격차를조절할 수 있는 방안으로서의 평생학습참여의 효과를 실증적으로 살펴보고자 했다. 한국교육개발원(KEDI)에서 수집하고관리하는 2020년 평생학습개인실태조사를 활용하여 만 25세 이상 79세 미만 성인 9,764명을 대상으로 단계적 회귀분석을수행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학력과 삶의 만족도의 정적 관계가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나타나 학력이 올라갈수록성인의 삶의 만족도가 증가함을 알 수 있었다. 둘째, 학력과 삶의 만족도 관계에서 평생학습 참여에 따른 조절효과가통계적으로 유의한 것으로 나타나 평생학습 참여여부에 따라 학력에 따른 삶의 만족도의 격차가 완화될 수 있음을알 수 있었다. 이러한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삶의 만족도를 높이기 위한 방안으로 교육 취약계층을 위한 향후 평생교육정책의 방향성에 대한 시사점을 논의하였다.


This study confirmed the effect of academic background on adult life satisfaction and analyzed the moderating effect of participation in lifelong learning. Schooling, a meaningful activity that positively changes an individual’s life, is closely related to life satisfaction. However, the selection and evaluation process in schooling causes a gap in academic achievement, which is a factor that might cause inequality in the quality of life. Therefore, while analyzing the relationship between schooling and life satisfaction, this study attempted to empirically examine the effect of participation in lifelong learning to adjust the gap in quality of life according to years of schooling. Stepwise regression analysis was performed on 9,764 adults aged 25–79 years using data from the 2020 Lifelong Learning Individual Survey of the Korea Educational Development Institute (KEDI). The findings suggest that the positive relationship between years of schooling and life satisfaction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indicating that adult life satisfaction increased as educational level increased. Second, regarding the relationship between years of schooling and life satisfaction, the moderating effect of participation in lifelong learning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indicating that participation in lifelong learning can reduce the gap in life satisfaction based on years of schooling. Based on these results, implications for future lifelong education policies for the educationally disadvantaged are discussed to increase life satisfac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