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이 논문은 중국 당(唐)대 작품인 <곽소옥전>과 조선시대 작품인 <주생전>을 대상으로, 서사의 특성을 분석하였다. 이 두 작품은 ‘남녀 간의 자유로운 애정을 소재로 한 작품’이다. 그러면서 서사 구조의 흐름 즉, ‘만남’, ‘불망기 소재’, ‘변심’, ‘여인의 사별’이라는 스토리가 비슷하다. 작품 분석에는 ‘단절적 변화의 프로세스’ 방법론을 적용하였다. 2장에서는 거시적 측면에서, 두 작품을 기본 서사 단계, 프로세스에 의한 분석 단계, 작품의 심층적 의미 분석 단계, 서사의 흐름에 따른 재분류 단계로 나누어 살펴보았다. 3장에서는 서사의 흐름을 ‘만남, 이별, 전환, 결과’의 네 단계로 구분하여, <곽소옥전>과 <주생전>의 차이점을 살펴보았다. 4장에서는 ‘단절적 변화의 프로세스’라는 방법론이 문학 작품 분석에 어떠한 유용함이 있는지 살펴보았다. 문학 작품을 더욱 세밀하게 분석하기 위해서는 다양한 방법론과 새로운 시도가 필요하다. ‘단절적 변화의 프로세스’라는 방법론을 활용하여 다양한 작품에 적용해 보고자 한다.


This thesis analyzes the characteristics of the narrative, targeting <KwakSook-jeon>, a Chinese Tang Dynasty work, and <Jusaeng-jeon>, a Joseon Dynasty work. These two works are 'works based on free affection between a man and a woman'. At the same time, the flow of the narrative structure, that is, the stories of 'meeting', 'material of the period of hopelessness', 'change of mind', and 'the bereavement of a woman' are similar. The ‘process of discontinuous change’ methodology was applied to the analysis of the work. In Chapter 2, from a macroscopic point of view, the two works were divided into the basic narrative stage, the analysis stage by process, the in-depth meaning analysis stage of the work, and the reclassification stage according to the narrative flow. In Chapter 3, the narrative flow was divided into four stages of 'meeting, parting, transition, and result' and examined the differences between <KwakSook-jeon> and <Jusaeng-jeon>. In Chapter 4, we looked at how useful the methodology of 'process of discontinuous change' is in analyzing literary works. In order to analyze literary works in more detail, various methodologies and new attempts are needed. I would like to apply a methodology called ‘process of discontinuous change’ to various work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