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이 글은 조선 후기 동화사 염불암 〈극락구품도〉(道光21년, 1841년)의 조성배경을 종교 및 사회사적 측면에서 규명하고 이와 아울러 작품 자체에 내포된 형식과 도상적 특징을 분석 규명하여 미술사적 위치를 확보하는데 목적을 두고 논의를 진행하였다. 이 불화는 정토삼부경(淨土三部經) 중에 『관무량수경(觀無量壽經)』의 내용을 도상화한 <극락구품도>이다. 특히 하단의 화기 내용과 사적기 기록을 통해 상단탱(上壇幀)임을 밝히고 있어 극락전의 후불화 역할도 했음을 입증하고 있다. 조선 후기 극락세계의 표현은 차원 높은 상상력을 발휘하여 현실 세계의 사물을 직접적이고 구체적인 이미지로 시각화하고 있는데, 화면의 구성이나 구도가 상호 조화와 균형을 이루며 색채나 필묵의 활용이 세련되고 유려(流麗)하다. 이러한 회화적 특질은 이전 시대 〈관경변상도〉 형식과 확연히 구별된다. 상ㆍ하 2단 구도(아미타삼존, 왕생의 구품연못, 일원상과 벽련대)로 나누어 왕생자를 맞이하는 형식은 1300년 경 일본 서복사(西福寺) 소장 <관경16관변상도(觀經十六觀變相圖)> 제12관(觀) 보관(普觀) 아미타삼존불 (阿彌陀三尊佛) 형식과도 비교된다. 이와 같은 형식으로는 직지사 심적암 <극락구품도>(1778년), 표충사 흥원전 <극락구품도>(1882년), 호국지장사 <극락구품도>(1893년) 등 많은 예들이 남아있다. 이런 구품도의 형식적 특징이 경상도는 물론 서울, 경기도 지역에서 보이고 있다. 염불암 <극락구품도>의 기본적 형식은 판화의 황금시대라 불리는 중국 명대 판화로 인쇄된 화보류가 수용되면서 이를 모본으로 하고 있음을 알 수 있으며, 여기에 화사(畫師)의 상상력으로 현실 세계의 사물을 직접적이고 구체적인 이미지로 시각화하고 있다. 이러한 관점에서 염불암 <극락구품도>는 당시의 정토신앙을 잘 반영하고 있으며, 예술적 창의성과 시대적 도상 특징을 지니고 있으므로 능히 불교회화사적 위치를 확보할 수 있는 작품이라고 볼 수 있다.


This study aims to identify the background of Donghwasa Yeombulam <Geungnak Gupumdo>(the 21st year of the King Dogwang, 1841) in the late Joseon Dynasty from a religious and socio-historical aspect, and analyze and identify the form and the iconographic characteristics implicit in the work itself so as to secure a position in art history. This Buddhist painting is <Geungnak Gupumdo> which is the iconography of 『Amitayurdhyana Sutra(觀無量壽經)』, one of the three principle Pure Land sutras. In particular, it was found to be upper-altar painting(上壇幀) through huo-chan at the bottom and historical record, proving that it also played a role in the post-buddhist painting of Geungnakjeon(Paradise Shrine). The expression of Pure land of Amitabha in the late Joseon period visualized real-world objects as direct and concrete images using a high level of imagination. The composition or structure of the screen is in harmony and balance, and the use of colors or pen and ink is refined and elegant. This pictorial feature is clearly distinguished from the form of the previous period 〈Paintings of the Paradise of Amitabha(觀經變相圖)〉. The form of welcoming the people reborn, which is divided into the two ritual altars of upper and lower (Amitabha Buddha Triad, Pond of Rebirth, Byeokjeonryeondae), is also compared with the form of the 12th view of Amitabha Buddha Triad(阿彌陀三尊佛), <Painting of sixteen visions of Amitāyur-dhyāna-sūtra(觀經十六觀變相圖)> in the collection of Seoboksa Temple in Japan around 1300. There are many examples of this form, such as <Geungnak Gupumdo>(1778) at Simjeogam of Jikjisa, <Geungnak Gupumdo> (1882) at Heungwonjeon of Pyochungsa, and <Geungnak Gupumdo>(1893) at Hogukjijangsa. The formal characteristics of this Gupumdo are being seen not only in Gyeongsang-do, but also in Seoul and Gyeonggi-do. The basic form of Yeombulam <Geungnak Gupumdo> is regarded to be modeled after the acceptance of pictorials that were a form of printmaking in the Ming Dynasty of China, the golden age of printmaking. With Hwasa's imagination, real-world objects are visualized as direct and concrete images. From this point of view, Yeombulam <Geungnak Gupumdo> well reflects pure land belief of the time, and it can be seen as a work that can achieve a position in the history of Buddhism painting because it has artistic creativity and iconographic features of the tim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