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사회적기업의 지속가능한 성장과 발전은 정책 형성, 자원 조달, 소비 및 참여의 기반이 되는 우호적 인식의 토대 위에서 이루어진다. 본 연구는 대표적인 소셜 미디어인 유튜브 플랫폼을 대상으로 콘텐츠 제공자가 형성하는 사회적기업 인식과 그에 대한 반응인 콘텐츠 이용자의 사회적기업 인식을 규명하고자 한다. 2000년 1월부터 2022년 8월 초까지 사회적기업을 주제로 한 2,513개의 콘텐츠와 그에 따른 6,324개의댓글을 수집하여 텍스트 네트워크 및 토픽 모델링 분석을 수행하였다. 먼저 콘텐츠 제공자의 인식 확인 결과, ‘인증’, ‘장애’, ‘성장’, ‘스토리’의 단어가 높은 중심성을 가지며, ‘정부 인증 및 지원제도’, ‘창출 가치와소비 촉진’, ‘사회적기업 및 기업가’라는 3가지 토픽으로 구성되어 있었다. 이러한 콘텐츠 네트워크는 평균연결정도와 군집화 계수를 통해 판단할 때 연결성이 매우 낮은 단절된 형태로 존재하였다. 콘텐츠 이용자의 인식을 확인한 결과, ‘생각’, ‘행복’, ‘관심’, ‘사람’, ‘노력’의 키워드가 높은 중심성을 가지며 ‘사회적기업의 존재 가치’, ‘사회적기업의 창출 가치’, ‘사회적기업 참여 의지’, ‘사회적기업 성장 기대’의 4가지 토픽으로 구성되었다. 이러한 결과는 유튜브 플랫폼 내 사회적기업 인식 현황을 제공하여 콘텐츠 제공자와 이용자뿐 아니라 실무 및 정책 부문에 전략적 시사점을 제공한다.
For the sustainable growth and development of social enterprise(SE), grasping the perception of SE is necessary. Therefore, this study aims to identify the SE perception formed by content providers and the SE perception of content users by targeting YouTube platforms, a representative social media. We collected data on 2,513 SE contents and 6,324 comments and replies on contents from January 2000 to early August 2022. The results of analysis for the perception of contents provider, the keywords “certification”, “disability”, “growth”, and “story” are highly centrality, and consist of three topics: “government certification and support program”, “value creation and consumption promotion”, and “SE and entrepreneurs”. As a result of analysis of the perception of content users, the keywords “thought”, “happiness”, “interest”, “people”, and “effort” have high centrality, and consist of four topics: “the existence value of SE”, “the creation value of SE”, “the willingness to participate in SE”, and “growth expectation of SE”. These results provide the current status of SE perception of contents providers and users within YouTube platform, and providing strategic implications for the development of policy and practice strategies.
키워드열기/닫기 버튼
Social Enterprise, Social Enterprise Perception, Text Network Analysis, Topic Modeling Analysis, YouTub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