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본 연구는 창의적인 글쓰기 능력을 신장시키기 위한 수업 연구로, ‘살아있는 은유’의 작동 방식을 적극적으로 활용하고자 했다. 이 과정에서 본 연구는 특정한 수업 모듈을 제시하고 이를 수업 현장에서적용시켜 그 성과와 한계를 검토하고자 했다. 통상적으로 ‘은유’와 ‘글쓰기 교육’을 연계시킨 기존 연구의 문제점은, 은유의 보편적인 개념을 피상적으로 수용하여, 수업에 적용시키고 있다는 점이다. 본 연구는 이렇게 아무런 검토 없이 ‘유사성’을중심으로 답습되어온 ‘은유의 개념’이 아니라, 차이성과 비동일성을 부각시키는 ‘살아있는 은유’의 개념에 주목하고자 했다. 이러한 은유야 말로 새로움과 창의성을 촉발시킬 수 있는 사유의 구조를 지니고 있기 때문이었다. 이 과정에서 본 연구는 시론과 시 창작론에서 주목해온 은유 및 병치은유의 개념을 집중적으로 살펴보았다. 또한 근래에 창작되고 있는 한국의 현대시를 수업의 자료와 모듈로써 활용하였다. 이를통해 본 연구는 학생들이 해당 수업 모듈을 활용함으로써, 창의적인 표현과 논리적인 해설이 가능하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해당 수업 모듈은 단순히 창의적인 표현을 만드는 것을 넘어서서 자아의 개념과 정체성의 탐색으로까지 이어질 수 있다는 확장성도 확인할 수 있었다.


This study, as a class study to enhance creative writing ability among students, tried to use the operation method of ‘living metaphor’. In this process, this study presented a class module and applied it in the classroom to review its achievements and limitations. The problem with existing studies that usually connect ‘metaphor’ with ‘writing education’ is that they accept too lightly the universal concept of metaphor and apply it to classes. This study tried to pay attention to the concept of ‘living metaphor’ that highlights ‘difference and non-identity’, rather than the ‘concept of metaphor’ that has been connected to ‘similarity’ without any review. This is because the metaphor entails a structure of thinking that can trigger novelty and creativity. In this process, this study focused on the concepts of metaphor and diaphor, which were noted in the theory of poetry and the theory of poetry creation. In addition, Korean modern poetry, which is being created as of late, was used as a reference material and as a module for the class. Through this process, this study confirmed that creative expression and logical commentary are possible by using the corresponding class module. In addition, this study confirmed that such a class module can lead to self-concept and identity exploration beyond simply creating creative expression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