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ESG경영은 기업의 지속가능성을 위한 중요요소이며, 소비자 중심 경영과 부합하는 가치라고 할 수 있다. 특히, 2019년 이후로 비즈니스의 패러다임이 투자자의 이익을 중시하던 ‘주주자본주의(shareholder capitalism)’에서 투자자뿐 아니라 지역사회, 협력업체, 고객, 근로자 등 모든 이해관계자를 중시하는 ‘이해관계자 자본주의(stakeholder capitalism)’로 전환이 이루어지면서, 향후 국내외 학문지형에서도 ESG경영 이슈는 재무․회계분야뿐만 아니라 마케팅, 조직행동 등의 분야에서도 지속적으로 중요한 연구주제가 될 것으로 보인다. 따라서 ESG경영 관련 논의가마케팅과 조직행동 등의 분야로 확장하기 위해서는 무엇보다도 먼저 기업의 ESG경영에 대한 소비자의 인식과 반응수준을 보다 객관적으로 측정할 수 있는 타당성과 신뢰성 높은 소비자 관점의 ESG경영 척도개발이 선행적으로 이루어질 필요가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Churchil(1979a, 1979b)이 제시한 다항목 척도개발 절차에 따라 연구를 수행하여 환경․ 사회․지배구조 차원의 기업경영활동에 있어서 소비자가 중요하게 생각하는 가치가 포괄적으로 포함되고 이들의 실질적인 가치측정이 용이한 측정문항들로 구성된 소비자 관점의 ESG경영 척도를 처음으로 개발하였다. 구체적으로, 기존의 ESG 연구뿐만 아니라 ESG경영과 관련된 주제를 다룬 다양한 선행연구에 대한 문헌고찰과 다양한 이해관계자 집단과의 표적집단면접(FGI)을 병행하여 소비자 관점에서 ESG경영의 다차원적 개념을 구조화하고 각 차원별측정문항 풀(item pool)을 추출하였으며, 국내외 산․학․연 ESG 전문가 7인과의 델파이(Delphi) 조사를 통한내용타당성 검증과 리서치전문가 2인과의 심층면접을 통한 표면타당성 검증을 통해 측정문항의 정화과정을 거쳤다. 이어서 2회의 온라인조사를 통해 수집한 데이터를 이용하여 ESG경영 척도의 타당성과 신뢰성에 대한 통계적 검증을 실시하였다. 마지막으로, ESG경영 척도의 이해타당성을 검증함으로써 환경(E) 차원의 ‘기후변화대응’과 ‘녹색기술개발’ 요인 5문항, 사회(S) 차원의 ‘지역사회공헌’, ‘상생협력’, ‘인적자본관리’ 요인 5문항, 지배구조(G) 차원의 ‘주주권익보호’, ‘투명경영’ 요인 5문항 등 총 15개의 측정문항으로 구성된 소비자 관점의 ESG경영 척도를 최종 개발하였다. 본 연구는 소비자 관점에서 ESG경영 척도를 개발한 최초의 연구로서, 향후 소비자 중심의 ESG경영에 대한논의와 다양한 학제 간 융합연구를 활성화하는데 기여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ESG management is an important factor for corporate sustainability and is considered a value that meets the stakeholder-centered management. The business paradigm has particularly shifted since 2019 from a shareholder capitalism that prioritized the profits of investors, to stakeholder capitalism, which values the interests of not only investors but also of all those concerned, such as the regional society, partner firms, customers and workers. As a result, it seems that ESG issues will continuously be an important subject of study in not only finance and accounting but also in marketing and organizational behavior. For the discussion on ESG to spread to marketing and organizational behavior sectors, an appropriate, reliable and consumer-centered ESG criteria will need to be developed preemptively to objectively gauge the awareness and response level of corporations to ESG. This research is based on studies that followed the procedures set by Churchil(1979a, 1979b) that set the criteria for multiple categories. The research comprehensively includes the values that consumers consider important in corporate management activities at the environment, society and governance structure levels. It also established consumer-centered ESG criteria that contains questions that facilitate the evaluation of their practical values. Specifically, not only former studies on ESG but also various precedent studies on ESG and focus group interviews by corporate stakeholder groups were simultaneously conducted. Consequently, multidimensional concepts of ESG from the consumer were structuralized and item pools from evaluative questions of each dimension were attained. In addition, content validity was confirmed through a joint Delphi study with seven experts in the industrial and academic researches. Face validity was confirmed and evaluative questions were corrected via in-depth interview with two research experts. Using data collected from two online researches, we verified the statistical validity and reliability of ESG criteria. Lastly, by verifying the nomological validity of ESG criteria, we finally developed ESG management criteria from the consumer perspective that are composed of a total of 15 measurement items including 5 items of ‘climate change response’ and ‘green technology development’ in the environment dimension, 5 items of ‘local community contribution’, ‘win-win cooperation’ and ‘human capital management’ in the social dimension, and 5 items of ‘protection of shareholder rights and interests’ and ‘transparency management’ in the governance dimension. The research is the first of its kind that developed ESG criteria from the consumer perspective, and we hope that it can contribute to future discussions on consumer-centered ESG management and stimulation of various integrative researches among academia.