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본고는 이승훈의 첫 시집 『사물 A』(1969)와 첫 시론집 『反人間』(1975)을 대상으로 시작 초기에 그가 보여준 시적 인식과 그것이 작품 안에서 어떻게 형상화되고 있는지를 살펴보고자 했다. 그는 먼저 60년대 부조리한 사회 현실을 직시하고, 그것의 진정한 변화를 가능하게 만드는 것으로서 내면세계를 발견했으며, 이것이 시 창작의 계기이자 필연적 조건이라고 생각했다. 그리고 현대인이라면 그 속에서 진정한 자아와 마주할 수밖에 없을 것이라고 보았다. 이를 바탕으로 그는 작품 속에서 ‘목 없는 형상’을 현대인의 표상으로 등장시키고 이와 같은 분열된 주체의 모습을 통해 내면세계를 그리고자 했다. 나아가 이승훈은 초현실주의 운동에 대한 분석을 통해 허무주의에 빠지지 않기 위한 시적 기법의 중요성을 자각했다. 이는 작품에서 단어 간의 긴밀성을 배제하거나 일정한 주제의 범주에 종속되지 않는 시적 구조들을 통해서 드러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이는 일종의 유희적 글쓰기로서 그는 내용과 형식의 변증을 시도하면서 심미적 체험이 가능한 시의 궁극적 형식으로 생각했다.


This study sought to examine early poetic perceptions and imagery about Object A and Antihuman by Lee Seung-Hun. He realized the absurd reality and discovered the inner world that made change possible. This is the trigger and the inevitable condition of creation to him. And he thought the inner world make to meet true selves of modern people. Based on this, he appeared to ‘headless body’ as a symbol of modern people. Furthermore, Lee Seung-Hun did not fall into nihilism and became aware of the importance of poetic techniques by Surrealism. It turned out to be a poetic structure that excludes close relationships between words and does not subordinate to the one subject. This means playful writing and the ultimate form of poetry that make an aesthetic experience and dialectic of content and fo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