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둔황 막고굴의 18개 隋唐代 굴실 천장에는 만개한 연꽃의 중심에서 귀를 공유한 토끼 세 마리가 원을 이뤄한 방향으로 힘차게 달리는 모습이 그려졌다. 이 글에서는 전례를 찾아볼 수 없는 이러한 토끼 도상이 막고굴천장 장식에 채택된 배경을 고찰했다. 세 토끼가 석굴사원의 장식 소재이므로 먼저 토끼에 대한 불교적 관점을 검토했는데, 인도 불교문화에서 토끼는 수도자를 위해 소신공양한 공덕으로 달에서 영원히 살게 된 동물로인식됨으로써(本生譚), 붓다의 전생 존재 중 하나라는 불교적 위상을 확보했다. 그리고 이러한 본생담 장면을시각화하여(本生圖), 장차 토끼 모티프가 불교미술에 채용될 수 있는 기반을 마련했다. 이와 더불어 불교 전래이전부터 토끼를 신앙하는 문화적 풍토가 있었던 고대 중국문화의 토끼에 대한 다양한 관점도 살펴봤다. 토끼는 다산·장수의 상징이자, 청동 제기의 형상으로 만들어질 정도의 神獸, 不死藥을 만드는 서왕모의 권속, 망자를 신속하게 천계로 안내하는 메신저, 달에 사는 불사의 정령 등으로 인식되었다. 그중 月像을 토끼에 대한중국 재래 신앙이 응축된 도상이라 보았는데, 여기서 토끼는 두꺼비와 함께 달에 사는 천상적 존재로 표현되는동시에 기존의 토끼 도상에서 선보였던 여러 자세를 모두 취한다. 이때, 월상에서 토끼의 비중이 점차 증가하고, 토끼의 자세가 차츰 약 방아를 찧는 모습으로 귀결되는 양상에 대해 불교의 확산과 토착화라는 시대상과관련지어 서술했다. 끝으로, 막고굴에 표현된 세 토끼 도상을 해석하기 위해 막고굴 407굴 토끼의 목에 감긴스카프, 연주문과 같은 서아시아적인 요소를 언급했다. 서아시아에서 스카프를 맨 동물은 망자의 영혼을 저승으로 인도하는 메신저를 뜻한다. 그런데 막고굴에서는 토끼의 목에 메신저의 징표를 묶어 極樂淨土를 나타내는 연꽃의 중심에 배치함으로써, 영혼의 승천과 극락에서의 영생을 기원했다. 이러한 맥락에서, 막고굴 407굴의 세 토끼 도상은 중국 재래의 토끼에 대한 신앙과 서아시아의 재생 모티프가 불교의 본생담 및 영생을 기원하는 정토 신앙과 융합해 불교적 메시지를 설파하는 독특한 도상으로 파악했다. 또한 세 토끼가 귀를 공유하며 한 세트임을 암시하므로 세 귀로 구성된 삼각형에서 佛·法·僧 三寶의 상징을, 마치 바퀴 굴러가듯 한 방향으로 원을 이뤄 계속 달리는 모습에서 윤회전생의 교의를, 시작과 끝을 알 수 없이 연속되는 회전의 속성에서는 佛法의 영원성에 대한 표상 등의 의의를 도출했다.


The ceilings of the 18 Shu dynasty burial chambers of the Mogao cave in Dunhuang depict three hares, sharing ears, running in a circle in the center of a lotus flower in full bloom. This study examines the context in which this unprecedented hare iconography was adopted to decorate the ceilings of the Mogao cave. Since the three hares are the subject of the decoration, this study first examines the Buddhist view of the hares. In Indian Buddhist culture, a hare is recognized as an animal that was granted eternal life on the moon for its meritorious service to monks. Therefore, it is perceived as one of Buddha’s past lives. By visualizing the Jataka tales, this study establishes a foundation for the future use of hare motifs in Buddhist art. Furthermore, this study explores the various perspectives on hares in ancient Chinese culture, where hares were part of the cultural landscape long before the introduction of Buddhism. The hare was recognized as a symbol of fertility and longevity, and was featured in a bronze statue, while also serving as an agent of Xi Wang Mu for immortality medicine and a messenger that guides the deceased to the heavenly realm. Additionally, the hare was regarded as an immortal spirit that resides on the moon, with the moon image being an important iconography in traditional Chinese beliefs about hares. In Chinese beliefs, hares were often depicted as celestial beings living on the moon alongside toads, and these beliefs incorporated various positions and postures depicted in the original images of hares. This study elucidates how the spread of Buddhism was linked to the growing significance of hares in moon imagery, as well as the evolution of hare iconography to portray the act of pounding medicines in a mortar. In essence, Buddhist interpretations of pre-existing iconography reinforced the image of hares, as there was a shared belief in Buddhist- Chinese culture that hares inhabited the moon. To interpret the significance of the three hares depicted in the Mogao cave, this study also examined West Asian elements, such as the scarves around the hares’ necks and the pearl-round motifs found in Mogao Cave 407. In West Asia, animals wearing scarves represent messengers who guide the souls of the dead to the afterlife. However, in Mogao cave, by tying the sign of the messenger around the necks of hares and placing the lotus flower, which represents the Pure Land, at the center, the image wishes for the soul’s ascension and eternal life in paradise. In light of these observations, the three hares depicted in Mogao Cave 407 represent a unique fusion of traditional Chinese beliefs about hares and West Asian rebirth motifs, with Buddhist beliefs about rebirth and eternal life, conveying a Buddhist message. The interconnectedness of the hares, symbolized by their shared ears, represents a cohesive group, akin to the Three Jewels in Buddhism. The circular motion of the running hares, reminiscent of a rolling wheel, represents the concept of reincarnation, while the unceasing rotation without a clear beginning or end exemplifies the eternal nature of Buddhist teaching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