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정신건강은 근로자의 직무수행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며 근로자의 이직, 자살시도와 같은 부정적 현상의 주요 원인으로 지적되고 있다. 특히, 해양경찰공무원의 정신건강은 해양경찰의 업무량 증가와 업무 중 위험의 증가로 큰 관심을 받고 있다. 이에 이 연구는 해양경찰공무원의 정신건강 개선을 위한 자료수집과 정책적 제언을 목적으로 수행하였다. 이에 따라 현재 해양경찰공무원의 정신건강을 확인하기 위해서, 우울, 불안감, 외상 후 스트레스 장애 수준을 구조화된 설문지를 활용하였다. 다음으로 인구사회학적 요인을 통제한 후 회복탄력성이 우울, 불안감, 외상 후 스트레스 장애에 미치는 영향을 검증하였다. 분석 결과 회복탄력성은 우울, 불안감, 외상 후 스트레스 장애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부(-)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구체적으로 회복탄력성에서 추출한 자기조절능력과 긍정성이 우울, 불안감, 외상 후 스트레스 장애에 부(-)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드러났다. 이러한 분석 결과를 토대로 해양경찰공무원의 자기조절능력과 긍정성을 높일 수 있는 정책적 시사점을 제시하였다.


Mental health directly affects the job performance of workers and is pointed out as a major cause of negative phenomena such as employee turnover and suicide attempts. In particular, the mental health of maritime police officers is receiving great attention due to the increase in their workload and the increase in risk during work. Accordingly, this study was conducted for the purpose of collecting data and offering policy suggestions to improve the mental health among marine police officers. To achieve the purpose of the study, the levels of depression, anxiety, and post-traumatic stress disorder(henceforth referred to as PTSD) were confirmed through a structured questionnaire to confirm the mental health of maritime police officers. Next, after controlling demographic and social factors, the effects of resilience on depression, anxiety, and PTSD were verified. In conclusion, studies have shown that resilience has a negative effect on depression, anxiety, and PTSD. Also, studies have shown that self-regulation ability and positivity extracted on resilience negatively affect depression, anxiety, and PTSD. Based on the findings, policy implications that can increase the self-regulation ability and positivity of maritime police officers were sugges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