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본고는 통시적 관점에서 고찰한 ‘파다’류 동사의 본질적 속성에 관한 논문이다. '파다'류 동사로는 ‘挖’, ‘掘’, ‘凿’, ‘剜’, ‘抉’ 등이 있었다. 조사결과 ‘掘’은 주로 ①[토지의 상태를 변화시키기 위해 파는 행위가 아님. 주로 매장하거나 매장물을 꺼낼 목적으로 땅을 파는 행위]과 ②[토지의 상태를 변화시키기 위해 땅을 파는 행위, 동작 후 자연물 및 인공물 형성]의 의미적 특징을 고르게 지녔으며, ‘凿’은 주로 ②[토지의 상태를 변화시키기 위해 땅을 파는 행위, 동작 후 자연물 및 인공물 형성]의 의미적 특징을 지녔으며, ‘剜’과 抉’은 주요하게 ③[뾰족한 도구로 후비거나 도려서 파내다]의 의미적 특징을 지녔었다. 대략 명조시기 때 생성된 ‘挖’은 ①, ②, ③번의 의미적 특징을 고르게 내포하게 되어 '파다'류의 주도동사가 되었다. 본고는 이 외에 합성동사인 ‘发掘’,‘盗掘’,‘掘凿’,‘挖掘’ 등은 결합할 때 동사들의 의미적 특징과 연관이 있음을 밝혀냈고, 술보구조는 동향규칙에 따라 동사와 보어가 의미상 상호 연관이 있을 때 결합한다는 사실을 알 수 있었다. 마지막으로 ‘파다’류 동사가 능격성을 보이게 되는 경우에 대해 알아냈다. 유독 ②번 의미적 특징을 지닌 ‘파다’류 동사만 자∙타동사로 활용될 수 있는 능격성을 보일 수 있었는데, 그 이유는 ②번 의미적 특징이 수동자의 상태를 변화시킨 결과와 연관되어 있기 때문이었다.


This paper analyzed the essential properties of the verbs of “dig” from a diachronic point of view. The verbs of “excavate” was “挖(wa)”、“掘(jue)”、“凿(zao)”、“剜(wan)”、“抉(jue)”. According to analysis, the verbs of “excavate” had three semantic characteristics - ①(excavate, dig out), ②(change in land condition), ③(scoop out). “掘(jue)”、“凿(zao)”、“剜(wan)”. The diachronic period of they were the dominant word were different. “挖(wa)” had turned into the dominant word because it had all three semantic characteristics from the Qing Dynasty. It also described the formation of compound words composed of synonyms, and how monosyllabic verb is developed a compounded words composed of synonyms. In addition, it showed the formation of verbs of “dig” and “出(chu)”、“取(qu)”、“断(duan)”、 “成(cheng)” and the reason why the verbs for the concept of “dig” frequently collocate with it. Finally, from the typology of view, it showed the reason why the verbs of “dig” to be an ergative verb. The author studied found out the reason why the verb of “dig”, which has second semantic feature, can convert to ergative verb.