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한자는 구조가 복잡하고 필획이 많아 여타의 소리글자에 비해 분명히 학습 난이도가 높다고 할 수 있다. 바로 그러하기에 덮어놓고 외우는 과거의 학습 방식은 지양되어야 하며, 부수(部首)나 부건(部件) 그리고 해성(諧聲)체계를 활용한 체계적인 접근이 이루어져야 한다. 그런데 현재 국내에서 사용되고 있는 각종 한자 폰트에는 편방(偏旁)의 형체 불일치 문제가 적잖이 존재해 체계적인 한자 교육에 걸림돌이 되고 있으므로, 한자의 자형(字形)을 학리(學理)에 근거하여 배우기 쉽고 가르치기 좋도록 적절히 다듬고 정비해야 할 필요가 있다. 본고의 제언(提言)을 간략히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단독으로 쓰이는 ‘天’과 ‘添ㆍ呑’ 등이 포함하고 있는 편방 ‘天’의 형체를 ‘ ’[二+人]으로 통일. 2. ‘望ㆍ聖ㆍ廷ㆍ庭ㆍ呈ㆍ程ㆍ聽ㆍ廳’ 등이 포함하고 있는 편방 ‘𡈼’의 형체를 ‘ ’[ +土]으로 통일. 3. ‘沿ㆍ鉛ㆍ船’ 등이 포함하고 있는 편방 ‘㕣’의 형체를 ‘ ’[八+口]으로 통일. 4. ‘食’이 왼쪽 편방으로 쓰일 때의 변형체인 ‘ ’에서 ‘皀’에 해당하는 부분인 ‘ ’과 ‘卽ㆍ節ㆍ旣ㆍ慨ㆍ槪ㆍ鄕ㆍ響ㆍ卿’ 등이 포함하고 있는 편방 ‘皀’의 각종 형체를 모두 ‘ ’로 통일. 5. ‘冰ㆍ凍ㆍ冷ㆍ冬ㆍ終ㆍ寒’ 등이 포함하고 있는 이수변(冫)의 형체를 하나로 통일. 부수(部首)체계의 정합성을 고려하여 속자 ‘氷’[丶+水]의 사용을 지양하고 정자 ‘冰’[冫+水]의 사용을 제안. 6. 단독으로 쓰이는 ‘免’과 ‘勉ㆍ晩ㆍ娩ㆍ挽ㆍ輓’ 등이 포함하고 있는 편방 ‘免’의 형체를 ‘ ’[총7획]으로 통일. 7. ‘勇ㆍ通ㆍ痛ㆍ桶ㆍ誦ㆍ踊ㆍ蛹ㆍ俑’ 등이 포함하고 있는 편방 ‘甬’의 형체를 하나로 통일. 해성(諧聲)체계의 정합성을 고려하여 속자 ‘ ’[マ+男]의 사용을 지양하고 정자 ‘ ’[甬+力]의 사용을 제안. 8. 단독으로 쓰이는 ‘玆’와 ‘慈ㆍ磁ㆍ滋’ 등이 포함하고 있는 편방 ‘玆’의 형체를 ‘ ’[䒑+幺+幺]로 통일. 9. 단독으로 쓰이는 ‘兼’과 ‘廉ㆍ嫌ㆍ謙’ 등이 포함하고 있는 편방 ‘兼’의 형체를 ‘ ’[ + ]으로 통일. 10. 단독으로 쓰이는 ‘害’와 ‘割ㆍ轄ㆍ憲’ 등이 포함하고 있는 편방 ‘害’의 형체를 ‘ ’[宀+ +口]로 통일. 11. ‘窗ㆍ總ㆍ聰ㆍ蔥’ 등이 포함하고 있는 편방 ‘囱’의 형체를 하나로 통일. 해성(諧聲)체계의 정합성을 고려하여 속자 ‘窓’[穴+厶+心]의 사용을 지양하고 정자 ‘窗’[穴+囱]의 사용을 제안.


It is obvious that, because Chinese characters have complicated structures and many strokes, they are more difficult to learn than other phonograms. As such, it is necessary to abandon the conventional learning method of rote memorization and adopt a systematic approach using Pianpang and phonetic series. A variety of Chinese character fonts currently used in Korea have a problem of considerable discrepancy in Pianpang shapes, which is an obstacle to a systematic education of Chinese characters. Therefore, it is needed to properly refine the patterns of Chinese characters so that they are easy to learn or teach based on academic principles. In this regard, suggestions of this study are summarized as follows. 1. The shapes of ‘天’ used alone and Pianpang ‘天’ included in ‘添’ and ‘吞’ are unified into ‘ ’[二+人]. 2. The shapes of Pianpang ‘’ included in ‘望’, ‘聖’, ‘廷’, ‘庭’, ‘呈’, ‘程’, ‘聽’ and ‘廳’ are unified into ‘ ’[+土]. 3. The shapes of Pianpang ‘㕣’ included in ‘沿’, ‘鉛’ and ‘船’ are unified into ‘ ’[八+口]. 4. A shape of ‘ ’ corresponding to ‘皀’ in ‘’ which is a variant of ‘食’ used in left Pianpang and the various shapes of Pianpang ‘皀’ which are included in ‘即’, ‘節’, ‘既’, ‘慨’, ‘概’, ‘鄉’, ‘響’ and ‘卿’ are unified into ‘ ’. 5. The shapes of Liangdianshui (冫) included in ‘冰’, ‘凍’, ‘冷’, ‘冬’, ‘終’ and ‘寒’ are unified. Considering the consistency of Bushou system, the use of ‘冰’[冫+水] instead of ‘氷’[丶+水] is recommended. 6. The shapes of ‘免’ used alone and Pianpang ‘免’ included in ‘勉’, ‘晚’, ‘娩’, ‘挽’ and ‘挽’ are unified into ‘ ’[a total of 7 strokes]. 7. The shapes of Pianpang ‘甬’ included in ‘勇’, ‘通’, ‘痛’, ‘桶’, ‘誦’, ‘踊’, ‘蛹’ and ‘俑’ are unified. Considering the consistency of phonetic series, the use of ‘’[甬+力] instead of ‘’[マ+男] is recommended. 8. The shapes of ‘玆’ used alone and Pianpang ‘玆’ included in ‘慈’, ‘磁’ and ‘滋’ are unified into ‘ ’[䒑+幺+幺]. 9. The shapes of ‘兼’ used alone and Pianpang ‘兼’ included in ‘廉’, ‘嫌’ and ‘謙’ are unified into ‘ ’[ + ]. 10. The shapes of ‘害’ used alone and Pianpang ‘害’ included in ‘割’, ‘轄’ and ‘憲’ are unified into ‘ ’[宀+ +口]. 11. The shapes of Pianpang ‘囱’ included in ‘窗’, ‘總’, ‘聰’ and ‘蔥’ are unified. Considering the consistency of phonetic series, the use of ‘窗’[穴+囱] instead of ‘窓’[穴+厶+心] is recommend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