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본 논문의 목표는 바르트 「옛날의 수사학: 비망록」을 통해, 수사학의 현대적인 위상과 기호학과의 관계를 구체적으로 확인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바르트의 논문에서 우리는 기표와 기의, 의미작용, 외시의미, 함축의미 등 그가 사용했던 용어들이 수사학의 기법들을 설명하기 위해 활용되는 것을 볼 수 있었다. 바르트는 이 논문에서 대문자 수사학으로 대표되는 고전적인 수사학의 역사와 현대 수사학의 체계를 설명하고 있다. 바르트의 논문이 현대의 수사학을 설명하면서 문제로 삼은 것은, ‘자명한 의미’이다. 이 자명한 의미는 그 기원을 알 수 없다. 따라서, 이 자명한 의미는 기존의 의미라는 뜻으로 해석될 수 있다. 수사학은 의미의 기원을 밝혀내기보다, 자명한 기표와 기의의 결합에 균열을 내고, 기표에 새로운 의미가 결합하는 기제를 밝히는 데 관심을 둔다. 의미작용은 기호학에서의 대상 인식 과정이다. 따라서, 수사학의 체계와 활용을 연구하는 것은 추상적이었던 의미작용의 기제를 확인하는 한 방법이 될 수 있다.


L'objectif de cet article est de confirmer la relation entre le statut moderne de la rhétorique et la sémiologie au travers de l’article « L'ancienne rhétorique : Aide-mémoire » de Barthes. Dans son article, Il a expliqué l'histoire de la rhétorique classique représentée par la « Rhétorique » et le système de la rhétorique moderne. Ce que cet article considérait comme un problème dans l'explication de la rhétorique moderne, c'est le « sens naturel ». L'origine de ce sens est inconnue. Par conséquent, ce sens peut être interprété comme le sens déjà existant. Plutôt que de révéler l'origine du sens, la rhétorique s'attache à briser le lien entre le signifiant évident et le signifié, et à révéler le mécanisme par lequel de nouveaux signifiés sont combinées avec le signifiant. La signification est le processus de reconnaissance d'objet en sémiotique. L'étude du système et de l'application de la rhétorique peut donc être un moyen de confirmer le mécanisme de la signification qui était abstrai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