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본 연구는 2011년 김정은 집권 이후, 북한의 도시화를 분석하는 데 있어서 데사코타 개념의 통찰을 빌려 온다. 현재 북한에서 전개되고 있는 군(郡)을 단위로 한 촌락과 도시의 공간적 연계의 정책적 강조와 농촌살림집 및 대규모 온실농장 건설을 앞세운 촌락의 도시화 과정은 형태적으로 ‘북한식 데사코타’로 해석될 여지가 많다. 본 논문은 도시와 촌락의 이분법에경도된 서구 도시연구를 비판한 지리학자 Terry McGee의 문제의식을 빌려 와 북한의 도시화를 분석하고자 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본 연구의 목적은 첫째, 북한도시의 맥락에서 데사코타를 개념화함으로써 북한도시의 공간적 역동성을 포착하는 데 방해가 되어 온 도시-촌락의 이분법적 인식을 적출할 인식론적 토대를 마련한다. 둘째, 이념·체제적 차이가 데사코타 형성에 미치는 측면을 강조한 북한식 데사코타를 통해 기존 아시아 도시의 데사코타 논의의 지평을 넓힌다.


This study borrows the insight of the desakota concept in analyzing the urbanization of North Korea after Kim Jong-un came to power in 2011. The policy emphasis on the spatial linkage between villages and cities in units of counties and the process of rural urbanization with the construction of rural dwellings and greenhouse farms at the forefront, which is currently being developed in North Korea, leaves much room for interpretation in terms of ‘North Korean-style desakota’. This article is expected to be effective in interpreting North Korea's urbanization by borrowing the critical mind of Terry McGee, who criticized Western urban studies that were obsessed with the urban-rural dichotomy. Specifically,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onceptualize the concept of desakota in the context of North Korean cities, and to provide an epistemological foundation to extract the dichotomy between city and village, which has been hindered in capturing the spatial dynamics of North Korean cities. The study also aims to contribute to expanding the horizon of the existing discussion on desakota regions of Asian cities through the North Korean-style desakota, which reveals the aspect that ideological and regime differences significantly affect the formation of desakota.