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본 연구는 노인맞춤돌봄서비스의 만족도 결정요인을 파악하는데 목적을 두고 있다. 이를 위해 좋은 돌봄에 대한 이론적 배경을 근거로 인구사회학적 특성, 근무환경, 서비스 구성요인의 영향력을 살펴보았으며, 충남 지역의 특성을 고려하여 도시와 농촌 지역의 비교하여 분석하였다. 2020년 충남 지역의 생활지원사 951명을 조사한 2차 자료를 활용하여, 빈도분석, 기술통계분석, 독립표본 t검증, 다중회귀분석 등을 실시하였다. 주요 연구결과를 보면 전체를 대상으로 한 위계적 회귀분석 결과 인구사회학적 특성에서는 생활지원사의 근무개월이 높을수록 서비스 만족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고, 서비스 구성요인에서는 서비스 이용자 선정이 적절할수록, 노인욕구에 맞는 통합적 서비스를 제공할수록, 일반돌봄군에 대한 서비스 양·시간이 적절할수록, 인력배치에 대한 만족도가 높을수록 서비스 만족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농촌의 경우 동일하게 나타났는데, 도시의 경우 생활지원사의 연령, 대상자 선정의 적절성, 노인욕구에 맞는 통합적 서비스 제공, 일반돌봄군에 대한 서비스 양·시간의 적절성, 서비스 이용자와의 관계 만족도가 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the determinants of satisfaction with customized care services for older adults. To this end, based on the theoretical background of good care, the influence of demographic and social characteristics, working environment, and service component factors was examined, and urban and rural areas were compared and analyzed considering the characteristics of the Chungcheongnam-do region. Frequency analysis, descriptive statistical analysis, independent sample t-test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were conducted using data from a survey of 951 care supporter in the Chungnam region in 2020. As a result of the hierarchical regression analysis for the entire population, the major research results showed that the higher the service months of the care supporter, the higher the service satisfaction in terms of demographic and social characteristics. The more integrated services were provided, the more appropriate the amount and time of services for the general care group, and the higher the satisfaction with manpower allocation, the higher the service satisfaction. These results were the same in the case of rural areas. In the case of cities, the age of the care supporter, the appropriateness of target selection, the provision of integrated services tailored to the needs of the elderly, the appropriateness of the amount and time of service for the general care group, and the satisfaction with the relationship with service users was found to have a positive effec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