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본 연구는 원격수업과 등교수업이 병행했던 코로나19 시기에 교육이 이루어지는 과정과 결과 측면에서 가정배경에 따른 교육격차가 발생하였는지 그 실태를 분석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서울교육정책연구소에서 주관하여 2021년에 수집된 『서울교육종단연구 2020』 1차년도 중학생 자료(data)를 활용하여 가정배경별 차이 검증을 실시하였으며, 이 실태분석 결과를 해석하고자 서울시 교원 및 교육전문직을 대상으로 FGI를 진행하였다. 주요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코로나19 시기 교육이 이루어지는 ‘과정’ 중 발생한 격차를 살펴본 결과, 가정돌봄 측면에서 가정배경에 따른 차이가 컸던 것으로 밝혀졌다. FGI 참여자들은 가정배경에 따라 학생의 관리․지원 정도에 차이가 크고, 저소득층 가정의 학생은 혼자 방치된 시간이 길어 디지털 기기 활용 시간이 다른 집단보다 긴 것으로 해석하였다. 이에 따라 지역사회와 연계한 학부모교육 강화, 가정 내 디지털 기기 활용 시간을 긍정적으로 유도하기 위한 흥미로운 학습 컨텐츠 개발 등이 그 대안으로 제안되었다. 둘째, 코로나19 시기 교육의 ‘결과’ 측면에서 격차를 살펴본 결과, 학생들은 인지적 성취뿐 아니라 사회, 정서와 같은 비인지적 측면에서도 가정배경에 따른 차이가 크게 나타났다. 이에 FGI 참여자들은 저소득층 학생의 부족한 부분을 집중적으로 관리하는 ‘핀셋 지원’이 부족한 점, 기존 교육격차 해소 정책의 모니터링이 제대로 작동하지 않는 점 등을 그 원인으로 꼽았다. 이 같은 교육결과의 격차를 해소하고자 학생 맞춤형 교육을 통한 공교육 내 핀셋 지원 제공, 기존 교육격차 정책 간 유기적 통합 및 촘촘한 모니터링 등이 제안되었다.


This study attempted to analyze whether the educational gap according to the family background occurred in terms of the educational process and results during the COVID-19 period. To this end, the Seoul Educational Policy Institute conducted a verification of differences by family background using data from middle school students in the first year of the 『SELS 2020(Seoul Educational Longitudinal Study of 2020)』 collected in 2021. After that, FGI was conducted for teachers and education professions in Seoul to analyze the causes of the educational gap and find solutions. The main findings are as follows. First, as a result of examining the gap that occurred during the ‘process’, it was found that there was a large difference according to the family background in terms of home care. FGI participants interpreted that the degree of management and support of students varies greatly depending on their family background, and students from low-income families spend longer time using digital devices than other groups. It was proposed as an alternative to strengthening parent education in connection with the local community and developing interesting learning contents to positively induce time to use digital devices at home. Second, in terms of the ‘results’ of education, students showed a large difference according to their family background not only in cognitive achievement but also in non-cognitive aspects such as society and emotions. FGI participants cited the lack of ‘tweezers support’ for students from low-income families to cultivate their shortcomings, and the lack of monitoring of existing education gap policies. It was suggested to provide tweezers support in public education through student-tailored education, systematic integration between existing educational gap policies, and close monitorin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