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본 연구는 초등학교에서 흔히 나타나는 부장 보직 기피와 학급담임 업무부담에 대한 문제 인식에서 출발하였으며, 문제의 원인과 해결방안 탐색, 실행, 평가 및 반성이라는 실행연구의 방법과 절차적 과정을 통해 학년 조직의 공동 목표에 부합하는 학년부장의 역할을 탐색하였다. 연구의 기간은 2021년 12월부터 약 13개월이며, 경기도 P시의 행복초등학교에 재직하는 A교사가 2022학년도 1년간 학급담임을 겸임하지 않고 교과와 3학년 교육과정 운영에 따른 사무를 전담하는 학년부장의 역할모형을 맡아 수행하였다. 연구의 결과에 의하면, 학급담임들은 3학년 부장에게 제도적으로 명확한 역할이 규정된 ‘지원자’와 ‘촉진자’의 역할을 기대하였고, A교사에 대한 역할기대가 충족되면서, 교사학습공동체가 활성화되고 교사 본연의 역할인 수업 준비 및 지도, 학생생활교육 등에 더욱 시간과 노력을 투입하는 모습을 보였다. 연구자는 이러한 연구 결과의 시사점을 Getzels와 Guba의 개념적 관점에서 논하였다. 본 연구는 우리나라 초등학교의 부장 기피 현상의 근원을 깊이 있게 들여다보고 성찰하였다는 점에서 학술적인 의의가 있고, 문제 상황 개선의 가능성을 확인하였다는 점에서 정책적인 의의가 있다.


This action research aimed to establish a desirable role of grade-level head teacher by identifying and analyzing the problem of teacher aversion to this role in large urban elementary schools, exploring and practicing solutions, and reflecting on the process and results. The data was collected for approximately 13 months from December 2021, and teacher A was assigned as a grade-level head teacher with no homeroom responsibilities, focusing solely on 3rd grade team management. The results showed that homeroom teachers expected the grade-level head teacher to fulfill the roles of ‘supporter’ and ‘facilitator’. The practice of teacher A's role led to the satisfaction of their expectations, promoting the activation of teacher learning communities within the team, and allowing homeroom teachers to focus on their primary role of teaching and guidance. This study then discussed the meanings and implications of the results from the conceptual framework of Getzels and Guba.