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최근 미중경쟁 심화에 따른 탈중국화(또는 디커플링) 압박 환경은 국제경제체제의 지각변동을 불가피하게 만들 것으로 예상된다. 본고는 중국을 대체할 제조업 허브로, 미국을 비롯한 시장자유주의 서방의 지지를 적극적으로 받고 있는 인도의 세계경제 지형에 대한 잠재력에 주목한다. 이에 ‘인도는 경제적 세계화에 기여할 것인가?’에 대한 연구문제를 제기하고, 탈중국화에 인도가 어떠한 역할을 할지, 국제경제체제가 어떻게 변화될지에 대한 직·간접적 해소를 시도하였다. 기존 연구들의 글로벌 불균형 지수, FDI 유입량, 개방도 지수를 활용한 분석결과의 주요 결론은 국제경제체제에서 탈중국화 현상은 아직까지 미비한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기존의 평가방법에 비관세/관세 무역 장벽을 포함하는 경제적 세계화 지수를 활용한 결과, 인도의 경제성장이 미중경쟁 심화와 더불어 세계경제 통합에 기여할 가능성을 내포하였다. 마지막으로, 글로벌 제조업 공급망 불안정성이 회복되고, 인도의 2-3차 산업간 불균형이 해소된다면, 향후 외부수요 증가와 제조업 공급망에 대한 인도의 기여도 향상에 따라 세계경제통합에서 그 영향력이 확대될 가능성을 제시하였다.


It is expected that international economic system would change from de-sinicisation (or decoupling) under the intensified US-China rivalry. This study highlights India as an alternative manufacturing hub with the support of Western market liberalism countries that can contribute to the global economic architecture. And thus, this study tries to the following research question: ‘Will India contribute to economic globalization?’. Solving this question, the analysis includes important implications about whether India would play a critical role in the process of de-sinicisation, and how global economic system would be transformed. Major findings with the use of previous studies’ indices/indicator (global imbalance index, FDI inflows, and openness index) have a quite consistent conclusion as follow: the de-sinicisation phenomena is limited yet. However, employing the economic globalization index, including tariff and non-tariff factors, the analysis produces possibilities that the continuing economic growth pattern of India would contribute to global economic integration given the US-China rivalry. Last, with recovering global manufacturing supply chain and relaxing the imbalance between second- and tertiary-industry in India, it suggests that India’s contribution to the global economic integration would depend on the degree of the level of external demand and its contribution to the global manufacturing supply chain.